4일 경제계에 따르면 상당수 기업에서 6월 내내 월드컵 응원 열기에 휩싸인 데 이어 월드컵 폐막 후에도 제대로 일을 하지 않는 직원이 많아 큰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인과 경제전문가들은 “월드컵 4강의 경제적 효과가 수십조원이라는 것은 잠재적 효과를 말하는 것인데 벌써 선진국이 된 듯 착각하거나 오직 축구만이 전부인 듯한 잘못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국내 최대 자동차업체인 현대자동차의 6월 자동차 생산대수는 지난해 6월보다 40.5%, 올 5월보다는 46.1%나 격감했다.
▼관련기사▼ |
월드컵 관전을 위한 6월 중 유급휴가가 1인당 18시간이나 된 데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부분 파업으로 인한 조업 손실도 86시간이나 됐기 때문.
현대차 측은 “월드컵 및 파업에 따른 손실금액만도 4522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며 “밀린 계약분을 소화하려면 생산을 늘려야 하는데 월드컵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어 생산성을 높이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월드컵 때문에 6월 매출이 작년 같은 달보다 줄어들거나 제자리걸음을 한 유통업체들은 월드컵 후에도 근무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아 휴가를 빨리 쓰게 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롯데백화점 이선대 매니저는 “월드컵이 끝나고 나니 모두 일은 안하고 휴가 갈 궁리만 한다”면서 “날씨까지 더워 차라리 휴가를 앞당기라고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손병두(孫炳斗) 부회장은 “미국의 경기 회복이 불투명해지고 달러당 원화환율이 하락(원화가치 상승)하는 등 국내외 경제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완된 사회 분위기가 잡히지 않아 산업생산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김주현(金注鉉) 부원장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은 월드컵을 개최하고도 심한 경제난에 빠졌다”면서 “월드컵으로 얻은 국가 및 기업의 대외 광고 효과를 실제 생산과 판매로 연결하지 못하면 월드컵 개최에 사용한 돈만 날리게 된다”고 경고했다.
신연수기자 ysshin@donga.com
최호원기자 bestig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