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종금 2000억 편법증자… 금융당국 묵인여부 조사

  • 입력 2002년 7월 23일 21시 46분


공적자금비리 특별수사본부는 23일 보성그룹이 1997∼2000년 계열사인 나라종금의 회생을 위해 회사 자금을 빼내 금융감독원과 정관계에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에 대해 수사 중이다.

검찰은 또 분식회계 및 대출사기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전자기기 생산업체 H사의 손모, 의류업체 J사의 김모 전 대표를 이번 주 중 차례로 소환해 조사키로 했다.

손씨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금융권에서 분식회계를 통해 수백억원을 대출받고 회사에 50억∼60억원의 손해를 끼친 혐의, 김씨는 사기대출을 통해 계열사에 수십억원을 부당 지원한 혐의를 각각 받고 있다.

검찰은 이들의 혐의가 확인될 경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 및 배임 등의 혐의로 형사처벌할 방침이다.

검찰은 최종욱(崔鍾旭) 전 SKM 회장이 SKM과 계열사인 동산C&G 등의 회생을 위해 비자금을 조성했는지와 정치권 고위 인사 등에게 로비를 벌였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또 금융감독원이 나라종금에 대해 증자 등에 관한 보고서를 정밀 검토하지 않고 98년 4월 영업정지를 풀었고 2000년 1월 2차 영업정지 때까지 한 차례의 검사도 하지 않은 사실을 밝혀내고 금융 당국의 묵인 여부도 조사 중이다.

나라종금은 당시 대우그룹 계열사 등에 2000억원대의 자금을 대출해주고 유상증자 형식으로 자금을 회수하는 등 편법 유상증자로 자기자본을 늘린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나라종금의 대주주인 보성그룹 김호준(金浩準) 전 회장이 97년 12월 이후 집중적으로 회사 공금 30억원을 가지급금 등으로 빼낸 점으로 미뤄 이 돈을 나라종금 영업 재개를 위한 로비자금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자금 흐름을 추적 중이다.

그러나 김 전 회장은 “30억원은 대부분 자금 사정이 어려운 계열사에 지원했으며 정관계 로비는 전혀 없었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와 함께 감사원과 예금보험공사가 지난해 말과 올 4월 김 전 회장이 97, 98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 투자 명목으로 최소 200만달러를 불법 유출했다고 고발함에 따라 외화 도피 여부도 수사 중이다.

정위용기자 viyon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