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건설교통부가 국민임대주택 건설 후보지로 꼽고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서 우선 풀기로 한 12곳을 포함한 경기도 내 그린벨트 해제후보지 154곳, 2311만평의 해제작업에 협조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주택 정책 및 국토 개발 계획을 놓고 중앙정부와 경기도의 마찰이 불가피해졌다.
▼관련기사▼ |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는 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을 갖고 “난개발을 막고 경기도의 균형발전을 위해 6개축으로 나눠 개발할 계획”이라며 “모든 택지개발은 이 계획에 따라 이뤄지고 부합되지 않는 택지개발은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와 관련해 △성남+용인의 경부축 △광명+시흥의 서해안축 △김포+고양+파주의 북서부축 △남양주+하남의 동부축 △동두천+포천의 북부축 △화성+평택의 남부축을 6개 개발축으로 정하고 2000만∼3000만평 규모의 도시개발계획을 새로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안에 기본적인 개발구상을 마련한 뒤 내년 말까지 구체적인 지역과 규모, 방법 등을 확정짓기로 했다.
손 지사는 “이번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 건교부가 입안 중인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에 반영되도록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건교부가 국민임대주택 건설을 위해 그린벨트에서 해제하려는 154곳, 2311만평에 대해 “해제지역의 평균 규모가 15만평으로 교통망 등 기반시설과 자족기능을 갖추기 어렵고 또 다른 난개발을 부추긴다”며 “업무협조를 해주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수원〓남경현기자 bibulus@donga.com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