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재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97년 말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아야 했던 정치 경제적 상황이 지금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부동산가격 폭등 등 자산가격의 거품 현상, 금융기관의 미스매치(자금수급 불일치), 시장가격체계 왜곡, 금융감독당국의 통제 실종, 정치 사회적 불안 등 5대 악재가 겹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 재정경제부 금융정책국장과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며 금융·기업구조조정 업무를 맡은 인물이다.
97년 외환위기는 국내 대기업의 과잉투자 후유증에다 환율폭등과 은행의 부실채권 증가, 외국인투자자들의 신뢰 저하 등으로 발생했다. 최근엔 경제불안의 원인이 투자부문의 거품에서 민간소비 부문의 거품으로 옮아간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실제로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 들어서만 51조원이 늘어 9월 말 현재 잔액이 205조원에 이른다.
임규진기자 mhjh2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