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은행의 저축성예금(신규 취급액 기준) 평균금리는 4.45%, 대출 평균금리는 6.39%로 각각 0.18%포인트와 0.12%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예금과 대출금리 모두 사상 최저 수준이며 예금금리는 작년 10월 이후 5개월째 하락세가 지속됐다.
특히 저축성예금 중 전통적으로 서민들의 목돈 또는 내집 마련 수단인 정기적금(4.79%)과 주택부금(4.90%) 금리는 전월에 비해 각각 0.24%포인트와 0.22%포인트 급락하며 처음으로 4%대로 떨어졌다.
정기예금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된 지는 오래지만 서민들의 재산형성수단인 정기적금과 주택부금의 실질금리까지 마이너스로 돌아서, 이들 상품이 재산증식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잃고 있다.
정기예금(4.65→4.46%)과 상호부금(4.82→4.63%포인트) 금리도 각각 0.19%포인트 내렸다.
대출금리도 가계대출금리(7.06→6.90%)와 기업대출금리(6.35→6.24%)가 각각 0.16%포인트와 0.1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금리의 경우 신규대출 취급 비중이 큰 주택담보대출금리(6.69→6.56%)는 이에 연동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유통수익률의 하락 등으로 내렸으며 신용대출금리(8.09→7.73%) 및 보증대출금리(6.98→6.78%)도 떨어졌다.
기업대출 평균금리는 대기업대출(5.96→5.93%)과 중소기업대출(6.44→6.30%) 금리가 각각 소폭 또는 중폭 떨어졌다.
예금금리는 정기예금금리(4.96→4.91%)가 0.05%포인트 내렸고, 수시입출금식예금인 저축예금금리(1.01→0.91%) 및 기업자유예금금리(2.70→2.55%)도 각각 0.10%포인트와 0.15%포인트 하락했다.
임규진기자 mhjh22@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