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 대책후 얼어붙은 강남 부동산]31평 호가 하룻새 1억급락

  • 입력 2003년 9월 7일 17시 59분


문닫은 중개업소‘9·5 주택 가격 안정대책’이 발표된 이후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의 거래가 뚝 끊어졌다. 대부분의 부동산중개업소가 문을 닫은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근처 부동산중개업소들에선 적막감마저 돌았다. 박영대기자
문닫은 중개업소
‘9·5 주택 가격 안정대책’이 발표된 이후 서울 강남 재건축 단지의 거래가 뚝 끊어졌다. 대부분의 부동산중개업소가 문을 닫은 7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근처 부동산중개업소들에선 적막감마저 돌았다. 박영대기자
《빗발이 흩날린 7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주변 부동산중개업소는 대부분 문을 닫았다. 문을 연 일부 중개업소에도 물건을 찾는 발길은 뚝 끊긴 상태에서 매물을 내놓으려는 전화만 이어졌다. 인근에 위치한 E공인중개업소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9·5주택가격 안정대책’ 발표 직후 값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 투자자들이 매도가 수준을 탐색하는 전화를 계속 해온다”고 말했다.》

이 아파트는 정부 발표 하루 만인 6일에 벌써 31평형의 호가가 7억7000만원에서 6억8000만원으로 9000만원 급락했다. 34평형도 3500만원 떨어져 8억3500만원에 형성됐다.

E공인 관계자는 “추석 연휴가 지나면 본격적으로 매물이 쏟아지면서 가격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9·5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서울 강남지역 부동산시장이 급랭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매물을 찾는 수요는 끊긴 상태에서 소형평형 의무비율 확대로 재건축 사업이 불투명해진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물이 쏟아지면서 일부 단지에서는 1억원 가까이 떨어진 투매현상까지 나오고 있다.

반면 이미 사업승인이 났거나 신청한 재건축 아파트와 기존 중대형 아파트 단지는 반사이익이 기대되면서 상대적으로 느긋한 표정이다.

▽가격 하락 아파트 속출=40평형 배정이 가능해 최고 7억5000만원까지 치솟았던 서초구 반포3단지 16평형은 6억7000만원까지 떨어졌다. 반포주공1단지 22평형도 6000만원 가까이 떨어져 6억1000만원에 나오고 있다.

인근 D공인 관계자는 “10월 1일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 부담이 9000만원가량 커지므로 9월 말이면 매물 수가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시세가 천정부지로 오르던 강동구 재건축 아파트도 2000만∼3000만원씩 가격을 낮춘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 4억5000만∼4억6000만원에 거래됐던 둔촌주공1단지 16평형이 4억3000만원, 3단지 31평형이 6억원에서 5억8000만원까지 떨어졌다.

▽아우성치는 재건축조합=소형평형 의무비율 확대로 직격탄을 맞은 강남지역의 12∼15층 규모의 중층 아파트들은 재건축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리모델링으로 사업을 전환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아파트 대부분은 30∼40평형대로 구성돼 가구 수를 늘리지 않고 평형만 키워가는 ‘1 대 1 재건축’을 추진 중이었다. 그런데 소형평형 의무비율 확대 조치로 20평형대 아파트도 지어야 한다.

강남구 역삼동 S아파트 재건축조합 관계자는 “소형평형을 추가로 넣는다면 조합원 중 일부는 현재보다 평형이 작은 아파트를 배정받아야 한다”며 “이 같은 방안은 수용되기 힘들기 때문에 정부가 제시한 대안인 ‘조합원 몫을 기존평형대로 하고 용적률이 늘어난 만큼 소형아파트를 추가로 짓는 방식’으로 사업계획 수정이 잇따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SK건설 장태일 상무는 “재건축 사업은 중대형 평형이 많아야 사업수익성이 높아져 조합원 분담금도 낮아지는데 소형 평형이 늘면 수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면서 “가구 수가 적어 의사결정 속도가 빠른 소규모 단지들은 리모델링으로 사업을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뒤돌아 웃음 짓는 곳도 있다=사업승인을 받았거나 신청 중인 재건축 단지는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모습이다. 정부의 이번 조치 대상에서 제외돼 희소성이 더해져 상품 가치가 높아진 때문이다.

송파구 잠실주공, 강남구 영동청담주공 등이 대표적인 곳들이다. 송파구 잠실동 에덴공인 김치순 사장은 “아직 가격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번 정부 조치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이철용기자 lcy@donga.com

김창원기자 chang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