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재건축을 추진해 온 조합원들은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큰 혼란을 겪고 있으며 조합과 건설회사가 긴급 대책회의에 나서는 등 초비상이다.
▼관련기사▼ |
- 정부서 손만대면 강남집값 폭등 |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9·5 대책’ 하루 만에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31평형은 호가가 7억7000만원에서 6억8000만원으로 9000만원이 떨어진 선에서 형성됐다. 서초구 반포 2단지 18평형도 급매물이 나오면서 가격이 2000만∼3000만원이 떨어졌지만 거래는 중단됐다. 시세가 고공행진을 거듭했던 강동구 지역도 매물이 크게 늘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추세다.
재건축 추진 조합들은 대책을 마련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 2단지의 이영수 조합장은 “정부의 ‘9·5대책’으로 그동안 추진해 온 사업계획이 어그러지게 됐다. 정부 요구를 맞추려면 평형 배분이 쉽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 아파트의 재건축은 어떻게 되는 것이냐’는 조합원들의 질문이 쏟아지고 있다.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재건축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리면서 공사를 맡았던 현대 대우 삼성 대림 등 주택건설회사들도 긴급 대책 회의를 가졌다.
한편 건교부는 판교신도시의 교육 여건 개선을 위해 학원 등 교육시설만 들어서는 ‘에듀파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하지만 민주당 소속 국회건설교통위 의원들이 추진 중인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방안’ 입법화에 대해서는 “다른 제조업종과의 형평성에서 문제가 생긴다”며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이철용기자 lcy@donga.com
김창원기자 chang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