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지난달 초 SK 이외의 대기업으로 수사를 확대한 이후 삼성 LG 현대차 롯데 한진 한화 두산 금호 등을 대상으로 비자금 조성 여부 등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를 벌여 왔다.
이 과정에서 검찰은 일부 대기업이 비자금을 조성했을 뿐만 아니라 비자금으로 조성된 불법 대선자금을 여야에 제공한 정황까지 포착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검찰 주변에서는 삼성과 현대차 등이 이에 포함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대선 때 개인명의로 민주당에 후원금 3억원을 낸 안복현(安福鉉) 제일모직 사장, 이대원(李大遠) 전 삼성중공업 부회장, 소병해(蘇秉海) 삼성화재 고문 등 삼성의 전현직 계열사 사장 3명이 강한 의심을 받고 있다.
현대차에 대한 압박 수위도 높아져 현대모비스 박정인 회장에 대한 소환 조사에 이어 김동진 현대차 총괄부회장 등의 줄소환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LG의 경우 검찰이 LG홈쇼핑 압수수색 등을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단서를 일부 포착하기는 했지만 비자금을 대선자금으로 전달한 단서까지는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번 주에도 10대 기업 계열사에 대한 압수수색과 주요 임원들의 소환이 줄을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각 대기업 구조조정본부장 등 사장급도 소환 대상자에 상당수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주로 예상되는 이학수(李鶴洙) 삼성 구조조정본부장의 소환에 재계 등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반면 재벌총수들에 대한 소환 조사는 상당 기간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문효남(文孝男) 대검 수사기획관은 30일 “기업총수의 경우 대선자금 수사를 마무리 하는 시점에서 소환이 이뤄질 것이기 때문에 이번 주는 아니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자금 조성 및 불법 대선자금 전달 여부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5대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총수를 극비리에 전격 소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수사가 장기화되면서 당초 목표와 달리 12월 중순까지 불법 대선자금과 관련한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 재계와 정치권에서 반발과 역공세가 취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검찰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태훈기자 jeffle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