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전망대]신연수/세계화와 한국인

  • 입력 2004년 1월 25일 17시 24분


코멘트
설 연휴에 지방에서 서울로 오는 비행기 안에서 가족을 동반한 남자를 보았다.

그는 김포공항의 불빛이 보이자 “다시 지옥으로 왔군”하며 한숨을 쉬었다. 부인이 “지옥은 무슨 지옥. 난 서울이 좋더라”하자 그는 “난 고향이 좋아”하고 쓸쓸히 말했다.

그 가장(家長)처럼 냉엄한 생존경쟁의 현실로 돌아오며 한숨쉰 사람들이 꽤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돌아보면 우리에게 익숙했던 많은 것들이 고향에 비유될 수 있을 듯하다.

똑같이 빳빳한 흰색 칼라의 교복을 입었던 고교시절, 20년 된 낡은 노트를 들고 강의하던 대학교수님, 성실하게만 일하면 평생이 보장되던 직장, 상사에게 꾸지람을 듣고 사표를 던지면 집까지 찾아와 말리던 회사동료들….

이제는 점점 이런 풍경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도시와 농촌, 학교와 직장 등 사회 각 분야에서 경쟁과 효율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그 원인을 다르게 보겠지만 필자는 ‘세계화’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교통의 발달에 이은 정보통신혁명으로 멀리 인도의 콜센터에서 미국의 소비자들을 상담하는 세상이 되었다. 전자제품 하나도 한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일이 드물다. 유럽에서 설계하고 일본에서 부품을 조달해 인도의 소프트웨어로 중국에서 제조하는 일이 흔해졌다. 이에 따라 지역과 공동체 안에서 일상적으로 이뤄지던 일들이 송두리째 변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가장 먼저 달라진 것은 경제계다. 글로벌 대기업에서는 이미 정년 개념이 사라진 지 오래다. 같은 직급에서도 같은 봉급을 받는 사람이 드물다.

외환위기 이후 삼성전자 국민은행 등 한국의 대기업들은 국제자본의 영향권 안에 들어갔다. 작년부터 핫이슈였던 재벌개혁의 앞날도 장기적으로는 정권의 성향과 큰 상관이 없다고 본다. 국제자본이 요구하는 기업의 투명성 강화로 나아갈 것이다. 대기업들은 새해에도 ‘글로벌 경영’을 제1 과제로 삼고 세계 각지에 공장과 연구개발센터를 짓고 있다.

세계화의 물결은 이제 한국 사회 전반으로 밀려들고 있다.

평균적인 고등인력을 양성해온 교육계는 다양성을 늘려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노동계는 젊은 세대를 위해 유연해져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공무원사회와 문화계도 개방과 경쟁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

경제분야만 변해서는 한국이 세계화의 파고 속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거대한 파도를 피할 수 없다면 스스로 파도를 타는 것이 이기는 방법이다.

비행기의 그 가장은 결국 서울로 돌아왔다. 그는 심호흡을 한번 한 뒤 다시 열심히 살아갈 것이다. 변화와 도전, 이것이야 말로 한국인이 가장 잘하는 것이 아닌가.

신연수기자 yssh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