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대비 실명제 이후 접대비 9.8% 줄어

  • 입력 2004년 2월 26일 15시 08분


건당 50만원 이상 접대할 때 상대방의 인적사항을 의무적으로 기재토록 하는 접대비 실명제가 올해 1월 도입된 이후 대기업의 접대비 지출액이 평균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6일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 중 300개사를 골라 접대비 실명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접대비 지출액이 10%이하 감소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72.1%, '11~20% 감소'가 15.4%, '21~30% 감소'가 6.5%로 평균 9.8%의 감소율을 보였다.

응답업체의 44.9%는 유흥주점에서 접대비 사용을 가장 많이 줄였다고 답했고 그 다음으로 고급음식점(19.4%), 골프장(16.5%), 상품권 구매(16.2%)였다.

접대비 실명제 회피 방법으로는 시차를 두고 결제를 하는 '영수증 쪼개기'(83.2%)를 가장 선호했고 통신카드 상품권 등 '대체 지불수단 사용'(9.7%), '관계회사 카드 공유'(5.1%) 등도 언급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통신카드의 경우 100만원 짜리의 고액 전화카드도 있어 업체들이 결제수단으로 제시하면 업소에서 이를 받아 할인받게 된다"고 말했다. 관계회사 카드 공유는 기업이 계열사나 거래업체 등 다른 법인의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실명제를 피해갈 수 있다는 것.

기업의 접대비 지출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응답업체의 66.5%가 입증대상 기준금액(현행 50만원)을 100만원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밝혔고 200만원 이상의 인상 의견도 27.5%에 달했다.

응답업체의 57.7%는 접대비 실명제로 기업의 영업활동이 위축될 것으로, 73.4%는 내수경기 회복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경련 경제조사실 김용옥 차장은 "접대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해야 하는 중소기업을 상대로 조사를 하면 이보다 더 부정적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원재기자 wj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