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확보전쟁…세계 각국 비상 수급대책 마련

  • 입력 2004년 2월 26일 18시 46분


원자재난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이 철강을 중심으로 일제히 원자재 비상 수급대책에 들어갔다.

KOTRA가 102개 해외무역관을 통해 조사해 26일 내놓은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주요국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철강업계는 고철 가격이 급등하자 고철의 수출제한을 정부에 요청했고 현재 상무부가 이를 검토 중이다.

미국은 자국 내 수요를 우선 충당키 위해 1973년과 74년에도 고철 수출을 제한한 적이 있다. 작년 12월에는 수입 철강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세이프가드) 조치를 폐지해 철강 수입량을 늘렸다.

인도와 중국은 필요한 원자재를 서로 확보하기 위해 원자재 물물교환 제도를 도입해 원자재난 극복을 시도하고 있다.

철광석 생산량의 60% 이상을 중국에 수출하는 인도는 중국이 석탄 수출을 규제하자 정부간 협상을 통해 철광석과 석탄을 맞교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조만간 성과가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철강제품에 대한 국내 가격상한제를 강화해 추가 인상을 막고 있다.

일본 철강업계는 자원개발 사업에 직접 뛰어들어 원자재를 공급받고 있다.

신일본제철의 경우 1월 중국 톈진(天津)에 코크스 합작공장을 설립해 연간 30만t을 우선 공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KOTRA 조병휘 통상전략팀장은 “세계 경기회복과 중국의 고성장으로 원자재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각국의 대응사례를 참고해 원자재 비축과 안정적 수급을 위한 효율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허진석기자 jameshu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