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진교(徐溱敎) 연구위원은 17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서울농업무역센터(aT센터)에서 대통령 자문기구인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와 농촌경제원 주최로 열린 ‘쌀 협상 국민 대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서 연구위원은 이 자리에서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 과정에서 한국이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등 협상 조건이 최악이 되면 한국의 쌀 MMA는 기준연도(1986∼88년)의 평균 쌀 소비량의 8%와 추가로 양보해야 하는 비율(+α)을 합친 8+α%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는 올해 기준으로 기준연도 소비량의 4%인 20만5000t이 MMA이다.
그는 “한번 정해진 MMA는 관세화(농산물 수입을 자유화하되 관세를 물려 수입량을 조절하는 방식)가 되더라도 계속 유지되는 만큼 앞으로 국내 쌀 산업에 족쇄가 될 수 있다”며 “쌀 협상의 목적은 관세화 유예를 고수하는 것이 아니고 개방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나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송유철(宋有哲) 연구조정실장도 “관세화는 절대 안 된다는 이분법적 입장은 협상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송진흡기자 jinhup@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