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금리는 지난해 7월 10일 이후 줄곧 3.75%를 유지하고 있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유가가 사상 최고가로 치솟으면서 물가가 들썩일 우려도 있으나 내수 부진에서 벗어나는 것이 더 시급하다는 인식이 폭넓은 공감을 얻고 있다.
일각에서는 '물가의 고삐를 미리 죄는 차원에서 금리를 올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최근 물가를 압박하고 있는 것은 고(高) 유가, 폭염 등 통제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인데다 금리 인상이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렇다고 막상 금리를 내리기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금리를 내릴 경우 정부가 '다 잡아놓았다'고 자부하는 부동산시장 안정세를 해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잇달아 금리를 올리고 있는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과의 금리 격차가 커지면 자본 유출의 가능성도 높아진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분석팀장은 "불황 심리가 만연하면서 돈을 풀고 금리를 내려도 소비나 투자가 늘지 않는 '유동성함정' 상황도 통화당국의 운신 폭을 좁히고 있다"고 말했다.
한 전문가는 "선제적인 금리 조정보다는 시장과 정부의 눈치를 보는 데 익숙한 금통위의 관행을 감안할 때 지금 같은 상황에서 금리 변경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금융계는 콜금리 조정 여부보다는 경기와 물가 문제에 대해 금통위가 어떤 입장을 밝힐지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석원 한화증권 채권분석팀장은 "지표상 거시경제 흐름이 뚜렷이 드러나는 10월은 돼야 금리가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철용기자 lc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