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총리 출신으로 지난해 11월 취임한 전 원장은 취임 초부터 ‘적발’ 위주의 감사에 그치지 말고 ‘대안’을 제시하라고 강조해 왔다.
이 때문에 적발 위주 감사에 익숙했던 감사원 직원들의 업무량이 폭주하고 있다.
전 원장은 국장들로부터 보고받을 때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느냐.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 외국 사례는 찾아봤느냐. 구체적인 대안은 있느냐”는 식으로 질문을 던지기 일쑤다. 이런 소나기식 질문에 명쾌한 예상 답변을 준비해 놓지 않았다간 얼굴이 벌게질 정도로 호통을 받는다. 종전 10∼20분 정도면 끝났던 보고거리가 1시간을 넘기는 경우도 왕왕 있다. 8개월에 걸친 ‘카드 특감’ 때도 감사원은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한 입장을 제시했고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는 지난달 13일 감사원의 권고를 상당부분 반영한 금융감독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했다.
감사원은 또 미국 유럽 동남아 등 3개 지역에 감사관을 2명씩 파견해 해외 공관에 대한 상시 감사 체제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감사원의 개선 요구와 권고, 통보사항의 이행 결과를 감사원에 보고토록 하고 현행 7명의 감사위원을 9명으로 증원하는 내용의 감사원법 개정안도 입법 예고된 상태다.
이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감사원 관계자는 전했다. 노 대통령은 민감한 사안의 경우 “전 원장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라”고 물어볼 만큼 신임을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