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포털 ‘네인즈’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중 같은 단지, 같은 평형이라도 강, 산, 공원 등에 대한 조망권 때문에 시세가 1억원 이상 가격차가 나는 단지가 152곳에 달했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9월(99곳)에 비해 37%나 증가한 수치.
양천구 목동 현대하이페리온 63평형은 1년 전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로열층 시세가 11억7000만원으로 저층(8억7000만원)보다 3억원 비쌌지만 지금은 로열층(15억)이 저층(10억) 보다 5억원가량 비싸다. 또 용산구 이촌동 LG한강자이 76평형의 경우도 한강이 보이는 집과 안 보이는 집의 가격차가 지난해 2억원(15억∼17억원)에서 올해 2억5000만원(16억5000만∼19억원)으로 커졌다.
조인직기자 cij1999@donga.com
서울에서 강 호수 산 조망이 가능한 주요 아파트 시세 | ||||||
조망 | 위치 | 아파트 | 평형 | 시세 | 가격차(원) | |
한강 | 강남구 | 삼성동 | 현대아이파크 | 104 | 40억∼45억원 | 5억 |
양천구 | 목 동 | 현대하이페리온 | 63 | 10억∼15억원 | 5억 | |
마포구 | 염리동 | LG자이 | 57 | 7억3000만∼12억원 | 4억7000만 | |
용산구 | 이촌동 | LG한강자이 | 76 | 16억5000만∼19억5000만원 | 3억 | |
양재천 | 강남구 | 도곡동 | 타워팰리스1차 | 124 | 38억∼45억원 | 7억 |
대치동 | 선경2차 | 55 | 14억∼17억원 | 3억 | ||
올림픽공원 | 송파구 | 오륜동 | 올림픽선수기자촌 | 57 | 13억∼16억원 | 3억 |
북한산 | 도봉구 | 창 동 | 북한산아이파크 | 63 | 5억7000만∼7억2000만원 | 1억5000만 |
우면산 | 서초구 | 방배동 | 방배자이 | 56 | 9억7000만∼12억원 | 2억3000만 |
자료:네인즈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