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 대형 건설회사의 임원인 A씨는 요즘 건설경기를 묻는 질문에 “죽을 지경”이라고 대답했다. 주택사업은 물론 토목사업의 수주 물량까지 줄어 회사의 앞날이 걱정된다는 것. 기존에 추진했던 재건축사업은 정부 규제 때문에 ‘올 스톱’됐다는 설명이다.
국내 건설경기가 급랭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선행지표인 건설수주 및 건축허가 건수가 올해 들어 급감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건설투자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19일 재정경제부와 건설교통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18일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지난해 10·29 부동산 종합대책 이후 부동산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건설경기는 작년 하반기를 정점으로 하강국면에 들어섰다고 진단했다.
올해 상반기 건설투자 증가율은 3.9%로 지난해(7.6%)의 절반 수준으로 둔화됐다. 또 향후 건설경기를 보여주는 건설수주는 7월 들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감소했다. 주택허가면적과 주택건설실적도 각각 24.9%, 22.9% 급감했다.
국토연구원은 건설수주 등 선행지표의 감소세로 건설투자 증가율이 올해 연말 기준으로 1.2%에 그치고 내년에는 2.9%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업의 침체 여파는 고용시장에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건설업계 취업자 수는 175만1000여명으로 작년 8월보다 5만여명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4·4분기에 자산담보부증권(ABS)을 발행해 공공부문에 투자할 재원을 확충하기로 했다.
한국도로공사는 다음달 중 서해안고속도로의 통행료 수입을 담보로 약 5000억원의 ABS를 발행할 예정이다.
또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연기금을 투입하고 민간이 제안한 15개 도로사업을 이른 시일 안에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윤영선 기획조정본부장은 “주택부문의 규제를 완화하고 택지 공급을 늘리는 등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지완기자 ch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