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 2333개단지 101만5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2004년 1년 동안의 시세를 조사한 결과, 44.2%인 44만8889 가구의 값이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값이 오른 가구는 37만3000여 가구(36.7%)였으며 19만3354 가구(19.1%)는 변동이 없었다.
25개 구 중에서 값이 내린 가구의 비중이 가장 큰 곳은 노원구로 전체의 68.1%(12만6253가구)가 값이 떨어졌으며 양천구(62.9%)와 강남구(62.4%)가 뒤를 이었다.
노원 양천 강남구는 학군 수요가 예년에 비해 줄어든 데다 최근 수 년간 집값 상승폭이 컸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정심리가 작용, 소형평형을 중심으로 하락한 가구 수가 많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반면 고속철 개통과 뉴타운 개발 등의 호재가 집중된 용산구는 전체 가구의 78.1%가 값이 올랐고 뚝섬 인근 '서울 숲' 조성계획으로 주목받고 있는 성동구도 73.2%가 올랐다.
부동산114 김혜현 부장은 "지난 한 해 동안 전반적인 집값 약세 속에서도 개발호재가 있는 곳은 꾸준한 집값 상승 곡선을 그렸다"고 말했다.
조인직기자 cij1999@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