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여 미래를 준비하자]<3>과장급, 글로벌맨 돼야

  • 입력 2005년 3월 9일 16시 57분


《A 전자회사에서 기술영업을 맡고 있는 조모(35) 과장은 5년 전 회사지원으로 외국의 전자 관련 회의에 참석했다가 충격을 받았다. 자신의 경쟁자는 회사 내부 또는 국내 전자회사가 아니라 외국 회사라는 것을 절실히 느꼈던 것. 또 좁은 한국 시장에서 경쟁하기보다는 미개척 시장이 널려 있다는 것에서 새로운 기회를 볼 수 있었다. 공대를 졸업한 조 과장은 해외 어학연수나 배낭여행을 가본 경험이 없다. 또 평소 어학공부는 엔지니어와 관계가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해외 회의를 마치고 돌아온 다음날부터 중국어 공부를 시작했다. 중국은 아시아의 중심 국가이며 발전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A사가 언젠가는 중국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5년이 흐른 지금 조 과장은 회사 내에서 ‘중국통’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중국어와 중국문화에 능통해졌다. 현재 회사 내 중국진출 태스크포스팀(TFT)에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헤드헌팅업체인 HR코리아(www.hrkorea.co.kr) 최효진 사장은 “해외 시장 진출은 직장인들에게 또 다른 기회를 마련해 준다”며 “세계를 무대로 개인의 목표를 재설계하면 자기계발에 대한 의욕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해외유학이 능사는 아니다=최근 삼성 LG그룹 등은 최고경영자(CEO)가 외국으로 직접 나가서 핵심인재로 키울 사원을 뽑고 있다. 이 때문에 직장인들의 해외 경영학석사(MBA)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하지만 MBA 졸업생들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졸업 후 제대로 취업하지 못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HR코리아가 국내 주요 기업의 인사담당자 97명을 조사한 결과 28.9%(28명)가 해외 유학파 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다고 답했다. 나머지는 아직 MBA 학위만으로 채용하지는 않는다고 답했다.

유니코서치 김혜양 이사는 “MBA는 로스쿨처럼 자격증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MBA 학위를 활용할 수 있는 뚜렷한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0대 과장급에서는 MBA 학위를 노려볼 만하지만 졸업시점이 35세를 넘기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럴 때는 외국계 기업에서 본사로 파견을 나가거나 국내 기업의 해외주재원으로 나갈 수 있는 기회를 노리는 것이 현명하다.

▽국제감각을 길러야 한다=KTF 글로벌전략팀에서 일하는 이선영(30) 과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퀄컴 등 기존 해외 투자회사 관리와 해외 전략적 제휴 파트너 발굴을 맡고 있다.

4년째 외국인들과 일하고 있지만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영어만으로는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선 경영학 지식이 필요하다고 느껴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경영연구원과 뉴욕주립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테크노경영석사(MS-TM) 과정을 수료했다. 또 외국의 문화를 이해해야 일이 수월해진다는 점을 알게 돼 이 과장은 출장 전에 외국영화나 영자신문을 보며 공통의 대화주제를 찾는다. 외국인들을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고 문화를 이해하는 국제감각을 키우기 위해서는 외국인 친구를 사귀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역전문가로 거듭나라=최근 싱가포르 중국 인도 등 특정 지역 진출을 목표로 해당지역의 전문가를 찾는 기업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전문성과 함께 특정 지역의 시장상황을 꿰뚫고 있는 전문가를 찾기는 매우 힘든 실정이다.

실제로 국내의 한 정보통신기업은 6개월째 지역 전문가를 물색하고 있지만 여전히 적임자를 못 찾고 있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많지만 지역시장을 이해하는 인재는 많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의 과장급들에게는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지역전문가 수요는 많은데 공급이 모자라는 상황이 당분간 지속된다고 볼 때 지금부터 철저히 준비하면 지역전문가로 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HR코리아 박미정 부장은 “누구든 한 시장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몇 년씩 걸린다”며 “미국 유럽 동남아시아를 모두 섭렵하겠다는 무모한 욕심을 버리고 한 지역을 정해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김두영 기자 nirvana1@donga.com

▼日 PCA생명 근무 김승수씨 성공기▼

“중학교 1학년 때 보이스카우트 행사로 필리핀에 갈 기회가 있었어요. 세계보이스카우트연맹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을 맡던 분이 한국인이었는데 굉장히 인상적이었어요.”

김승수(金昇洙·37·사진) 씨는 한국에서 태어나 국내에서 대학을 마치고 국내 금융회사(국민카드)에서 6년간 근무했다. ‘토종’인 그는 현재 영국계 기업의 일본지사에서 일하고 있다.

“국제적인 활동을 하는 한국인을 처음 본 인상이 아직도 생생하다”는 그는 대학에서 일본어를 전공했고 국민카드 재직 시절에는 영국문화원 등에서 영어를 공부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1월에 회사를 그만두고 MBA를 준비했죠.”

두 아이의 아버지이자 가장으로서는 모험이었지만 “위기일지 기회일지는 해보지 않고는 모른다”는 생각에 ‘감행’했다.

2000년 여름, 미국 보스턴 시의 헐트 국제경영대학원에서 1년짜리 MBA 과정을 시작했다. 그해 겨울 크리스마스 휴가 기간에 김 씨는 MBA 대상 채용박람회가 열리던 영국 런던으로 날아갔다.

수십 군데에 면접을 보고 나서 PCA생명의 영국 본사에 채용됐다. 당시 이 회사는 영풍생명을 인수해 한국에 진출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김 씨는 “일본어와 영어를 할 줄 아는 한국인”이라는 점을 들어 아시아 영업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MBA를 마친 2001년 여름 PCA의 한국 내 인수합병 팀에 소속돼 일을 시작했다. 김 씨는 이 회사의 글로벌 인재양성 프로그램인 ‘PCA멘터’ 과정에도 지원했다. PCA멘터는 핵심 인재들이 3년간 세계 곳곳의 영업망을 돌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제도. MBA 과정을 마쳤고 영어 외에 제2외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자격이 주어진다.

2001년 말부터 3년간 한국 일본 홍콩에서 PCA멘터 과정을 마친 김 씨는 현재 일본 PCA에서 일하고 있다.

김승진 기자 sarafi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