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4월1일 부분파업…‘자동차社 4勞4色’

  • 입력 2005년 3월 30일 18시 36분


다음 달 1일로 예정된 민주노총의 ‘4시간 경고 파업’ 참여 여부를 두고 주요 자동차회사 노동조합들이 다소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민주노총은 정부가 내놓은 비(非)정규직 법안의 국회 통과를 막기 위해 다음 달 1일 부분 파업을 벌인다는 방침을 최근 밝힌 바 있다.

30일 자동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노조는 28일 확대운영위원회를 열어 다음 달 1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동안 울산역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부분 파업을 벌이기로 결의했다.

또 현대차 노조 집행부는 “23일 울산공장 안에서 집회를 준비하던 비(非)정규직 노조 간부와 전임 노조위원장이 회사 경비들에게서 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하면서 이날부터 철야농성을 시작했다.

노조 측은 ‘폭행 사건’의 책임자 처벌과 회사측 구조조정 계획의 백지화 등 노조의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부분 파업 이후에도 파업을 연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28∼29일 이틀간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했던 쌍용자동차 노조도 재적 인원의 74.1%가 파업에 찬성함에 따라 부분 파업에 참여하기로 했다.

그러나 쌍용차 노조는 4시간 동안 파업할 것인지, 파업 시간을 이보다 줄일 것인지를 31일 회의에서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최근 파업 찬반투표 결과 52.4%가 파업에 찬성한 GM대우자동차 노조는 “파업에 동참하겠지만 사규(社規)가 정한 테두리 안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GM대우차 노조는 GM이 부평공장을 인수할 때 내걸었던 ‘평화유지 조항’을 의식해 파업에 참여하더라도 조합원 총회 또는 교육 등의 명목으로 1시간 정도 모임을 갖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기아자동차 노조는 최근 벌어진 채용 비리 사건으로 차기 집행부를 뽑는 선거를 진행하고 있어 민주노총 부분 파업에는 참여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대해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자동차 업체 노조별로 자신들만의 사정이 있어 예전처럼 ‘일사불란’한 형태의 파업을 벌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주성원 기자 s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