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가치창조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금융정보업체 톰슨 파이낸셜의 자료를 토대로 전 세계 12개 업종(금융서비스 제외) 596개 기업을 분석했다.
총 주주수익률(TSR)은 기업가치 증가분과 배당수익률을 합한 개념으로 기업가치 창조의 가장 포괄적인 측정 기준이라고 BCG는 설명했다.
보고서가 계산한 삼성전자의 총 주주수익률은 1999∼2003년 동안 연평균 44.2%.
총 주주수익률이 가장 높았던 기업은 브라질의 항공기 제조업체 엠브라엘로 연평균 108.7%였다. 이어 홍콩의 자동차 부품업체 덴웨이모터스(87.8%), 브라질의 펄프 제지업체 보토란팀셀룰로오스(74.2%)의 순이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2003년 말 삼성전자보다 크게 낮았다.
시가총액이 200억 달러 이상인 142개 기업만을 놓고 볼 때 삼성전자는 미국 정보통신기기 업체 퀄컴(53%)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또 시가총액 100억 달러 이상인 81개 하이테크 기업 중에서는 퀄컴과 미국 보안 소프트웨어업체 시만텍에 이어 삼성전자가 3위에 올랐다.
시가총액 100억 달러 이상인 아시아태평양지역 56개 기업에서는 삼성전자가 1위, SK텔레콤(28.2%)과 포스코(24.1%)가 각각 4위와 5위였다.
인도의 화학업체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38.6%)와 일본 닛산자동차(29.8%)가 2위와 3위.
BCG는 “기업가치와 총 주주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산성 향상에 신경 쓰고 투자자에 대한 현금 배당률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 10대 가치창조기업 (기간은 1999∼2003년) | ||||
순위 | 기업 | 국가 | 업종 | 총주주수익률(TSR) |
1 | 엠브라엘 | 브라질 | 항공기제조 | 108.7% |
2 | 덴웨이모터스 | 홍콩 | 자동차부품제조 | 87.8% |
3 | 보토란팀셀룰로오스 | 브라질 | 펄프·제지 | 74.2% |
4 | 아라크루즈셀룰로오스 | 브라질 | 펄프·제지 | 69.6% |
5 | 버러토리코프 | 미국 | 임상의학·실험 | 60.8% |
6 | 레임팔라플래티넘 | 남아공 | 광물제조 | 56.4% |
7 | NOK | 일본 | 자동차부품제조 | 53.3% |
8 | 퀄컴 | 미국 | 정보통신기기 | 53.0% |
9 | 시만텍 | 미국 | 보안소프트웨어 | 44.7% |
10 | 삼성전자 | 한국 | 전기·전자 | 44.2% | 자료: 보스턴컨설팅그룹 |
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