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태(朴光泰) 광주시장은 27일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한 전국시도지사 회의 참석 직후 “한전과 2개 자회사만 보태 배정하겠다는 것은 당초 기대와는 다르다”며 “각계각층의 의견 수렴을 거쳐 최종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말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29일 “인접한 전남 영광원전과의 연계성과 지역 낙후도를 종합적으로 감안할 때 한전이 광주로 이전해 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아직 시 입장에서 아무런 결정을 내린 바 없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광주가 울산과 함께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다른 관계자는 “전체 177개 이전대상 기관 가운데 한전과 한전KDN 및 에너지경제연구원을 포함하는 소위 ‘1+2안’의 손익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며 “나머지 174개 기관의 평균 이전효과를 산정해 내는 것이 이 작업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그동안 한전을 유치할 경우 지방세수 등 파급효과가 연간 1000억원에 육박할 것이라고 기대해 왔으나 한전의 상대적 이전효과가 줄어든 만큼 공공기관 유치전략을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박 시장을 비롯한 시 관계자들은 이런 점을 잘 알고 있어 ‘실리 챙기기’와 ‘정치적 계산’ 사이에서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가 한전 유치의 경제적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공개한 뒤 여론수렴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권 기자 goqud@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