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가 예상보다 큰 데다 최근 정부의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인 주택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주택국과 도시국 국·과장 전원이 교체됐기 때문.
건교부는 1일 단행한 국·과장급 인사에서 주택국장과 홍보관리관 등 국장 17명, 주택정책과장과 토지정책과장 등 과장급 32명을 전보 발령했다. 또 국장과 과장급 각각 5명을 본부로 발령했다.
이는 건교부 전체 보직 국·과장의 30%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이번 인사 규모는 당초 1급(관리관)으로 승진한 국장급 2명과 해외 파견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준의 소폭이 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특히 최근 정부 정책의 핵심 과제인 집값 안정을 책임지고 있는 주택국에 대한 인사 조치는 파격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올 2월 4일 취임했던 주택국장이 5개월도 채우지 못하고 전격 교체됐다. 최근 10년간 주택국장의 평균 재임기간은 10개월 남짓이다.
또 주택국 소속 △주택정책과장 △주거복지과장 △공공주택과장 △주거환경과장 등 4명이 한꺼번에 바뀌었다.
주택국만큼 주택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결정하는 도시국도 국장과 소속 3개 과 과장이 모두 자리를 옮겼다.
이에 따라 이번 인사가 최근의 집값 급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데 따른 문책성 인사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건교부는 이에 대해 “경력 관리를 위한 순환보직 원칙과 개인적인 문제 등을 고려해 인사를 실시했다”며 “문책성 인사가 절대 아니다”고 밝혔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주택국 및 도시국 국·과장 | |||
구분 | 신임(직전 보직) | ||
주택국 | 국장 | 강팔문 | 국민임대주택건설 기획단장 |
주택정책과장 | 박선호 | 수도권계획과장 | |
주거복지과장 | 송석준 | 국외 훈련 | |
공공주택과장 | 유성용 | 국민임대주택건설기획단 택지개발과장 | |
주거환경과장 | 서명교 |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추진단 파견 | |
도시국 | 국장 | 이재홍 | 홍보관리관 |
도시정책과장 | 김병수 | 토지정책과장 | |
도시관리과장 | 구본환 | 국가균형발전위 파견 | |
건축과장 | 한창섭 | 주거환경과장 | |
자료: 건설교통부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