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문은 부동산가격 급등 문제를 부동산시장만의 문제로 볼 것인가, 아니면 부동산과 예금, 주식을 아우르는 자산시장 전체의 문제로 볼 것인가를 따지는 화두다.
본보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60명은 ‘증시 활황이 부동산가격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40명은 ‘두 시장은 자금의 성격이 달라 상관관계가 없다’고 대답했다.
부동산도 자산의 일부인 만큼 상식적으로 증시에 돈이 몰리면 부동산에서는 자금이 빠져나가야 한다. 하지만 이런 상식이 한국 자산시장에서는 아직 잘 통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살펴봐도 두 시장 사이의 상관관계는 그다지 높지 않다. 오히려 부동산시장 위축이 다른 자산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던 적이 많았다.
굿모닝신한증권에 따르면 1990년 이후 한국에서 부동산가격이 추세적인 하락세를 보인 두 차례(1991년 5월∼1992년 7월, 1997년 10월∼1998년 11월) 모두 증시도 약세를 보였다.
특히 토지공개념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하고 기업의 비업무용 토지에 대한 과세 등 혁신적 조치가 시행됐던 1990년대 초반 부동산가격은 정부의 의도대로 하락했지만 증시도 동반 부진했다. 증시가 부동산시장의 대체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따라가는 모습을 보인 것.
굿모닝신한증권 김학균(金學均) 연구원은 “부동산가격이 잡히더라도 연착륙이 아닌 급락 형태라면 오히려 전체 자산시장에는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증시와 부동산시장이 건강한 대체 역할을 하려면 증시의 체질이 강화돼 두 자산시장 사이에 힘의 균형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완배 기자 roryrer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