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대구, 대전은 개발 바람을 타고 변두리 지역이 부촌으로 변모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부산 해운대구,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 등이 대표적이다.
부산 해운대구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자연환경, 대구 수성구는 교육여건, 대전 서구는 대규모 행정타운이 부자들을 불러들인 원동력이다.
부산은 전체 10억 원 이상 현금부자 858명 가운데 202명(23.5%)이 해운대구와 수영구에 산다.
해운대구와 수영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해변에 고급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부산의 신흥 부촌으로 떠올랐다. 1998년 부산시청이 중구 중앙동에서 외곽으로 옮겨가면서 전통적인 부자들이 대거 이곳으로 이주했다.
중구는 과거 영화를 누렸던 광복동, 남포동의 상권이 예전만 못하지만 아직도 부자밀도는 1만 명당 10.6명으로 부산에서 가장 높다.
1995년 부산에 편입된 기장군의 부자밀도가 6.2명으로 중구에 이어 2위를 차지해 눈길을 끈다.
대구는 수성구의 독무대라 불러도 좋을 정도다. 전체 현금부자 497명 중 198명(39.8%)이 학군과 교통 환경이 뛰어나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에 산다.
수성구는 1980년 이후 경북고 대륜고 대구여고 등이 이전해 오면서 대구의 명문학군으로 떠올랐다. 이에 맞춰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옛 도심의 부자들이 모여들었다.
대전의 부자 동네는 전체 현금부자 252명 중 92명(36.5%)이 거주하는 서구.
이 지역은 1990년대 중반 둔산동에 대규모 행정타운이 조성되면서 개발이 시작됐다. 정부 제3청사와 대전시청, 법원, 검찰청 등 행정기관이 둔산동에 들어서고 인근에 대형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면서 부촌으로 탈바꿈했다.
반면 울산 광주 등은 이른바 ‘시내’로 불리는 도심에 부자가 많았다.
도심과 변두리 편차가 가장 큰 곳은 울산. 10억 원 이상 현금부자 61명 중 옛 시가지인 남구와 중구에 48명이 몰려 있고 나머지 동구, 북구, 울주군에는 각각 2명, 5명, 6명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몽준(鄭夢準) 의원의 지역구인 동구는 현대계열사 사무직 직원들이 많이 살고, 지난해 민주노동당 조승수(趙承洙) 후보가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던 북구는 현대 생산직 직원이 많이 거주한다. 울주군은 울산에 편입된 농촌 지역이다.
○ 예상 밖 1인당 예치금액
경기를 제외한 도(道) 지역은 수도권 및 광역시에 비하면 현금부자 수와 예치금액이 많지 않다.
다만 제주는 현금부자가 72명에 불과하지만 인구 대비 부자밀도는 1만 명당 1.4명으로 1명에도 못 미치는 다른 도에 비해 높았다.
현금부자 1인당 예치금액은 예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부자 수나 밀도에서 중·하위권에 머문 충북이 1인당 예치금액에서는 24억4000만 원으로 서울(25억2000만 원)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조흥은행 백남학(白南鶴) 충청본부장은 “최근 몇 년 사이 가경지구 산남지구 율량지구 등 청주지역 택지개발이 이뤄지면서 토지 보상금을 받은 사람이 꽤 된다”며 “땅 부자들은 20억∼30억 원씩 보상받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통적으로 땅 부자가 많았던 전남 전북과 강원은 부자 수, 밀도, 1인당 예치금액 등 어느 잣대로도 부자동네와는 거리가 멀었다. 인구 1만 명당 부자 수도 0.2∼0.3명에 그쳤다.
|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
홍석민 기자 smhong@donga.com
김아연 정보검색사 ay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