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궁합좋은 ‘우리’와 ‘하나’‘토종은행’ 논쟁

  • 입력 2006년 1월 18일 03시 03분


코멘트
《‘토종은행’을 둘러싼 은행권의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우리은행 황영기 행장이 올해 영업전략으로 내세운 ‘토종은행론’에 대해 하나금융그룹이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서면서 논쟁이 달아올랐다.》

하나금융그룹 계열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7일 ‘토종은행론 비판’이란 보고서에서 “토종은행론은 철학적, 이론적 빈곤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혹세무민식 퇴행적 감성을 자극해 금융산업의 시장질서와 규율을 교란할 징후가 있다”며 “‘홍보를 위한 쇼’로 치부하기에는 도가 지나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앞서 황 행장은 지난해 12월 월례조회에서 “한국인이 과반수를 소유하고 경영도 한국인이 해야 토종은행”이라며 ‘우리은행만 토종은행’이라는 주장을 처음 제시했다.

그는 이어 이달 14일 ‘우리은행 2006년 경영전략 워크숍 및 전진대회’에서 “토종은행은 국민경제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인터넷뱅킹과 텔레뱅킹 수수료를 절반으로 내리는 등 토종은행론을 내세워 연초부터 영업전을 촉발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황 행장의 토종은행 개념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외국인 지분으로 토종이냐 비토종이냐를 따지면 삼성전자나 포스코도 외국 기업이라는 것.

황 행장은 “우리은행과 거래하면 수수료의 90%(내국인 지분)가 한국 국민에게 돌아가고, 비토종은행과 거래하면 수수료의 85%(외국인 지분)가 외국으로 빠져나간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영업수익 대부분은 종업원 임금 등 영업비용으로 충당되거나 재투자를 위해 사내 유보금으로 두기 때문에 외국으로 가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라고 반박했다.

하나금융이 특히 토종은행론에 대해 펄쩍 뛰는 것은 외환은행 인수전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자금력이 달려 어차피 외국계 자금을 끌어와야 하는데 우리은행의 토종은행론이 여론의 힘을 받으면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 하나금융은 대한투자증권을 인수할 때도 싱가포르 자본을 끌어들이려고 했었다.

은행권에선 우리은행의 토종은행론이 수수료 인하를 통해 은행 간 암묵적 담합을 깨고 경쟁관계를 촉발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홍보성 이벤트라면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황 행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영풍빌딩에서 열린 사모펀드 자회사 우리프라이빗에퀴티 출범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토종은행론 비판에 대해) 단번에 반박할 수 있지만 이야기하지 않겠다”며 논쟁이 더 확산되는 것을 경계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현황
우리은행구분하나은행
1만3698명직원8748명
743개지점571개
1조3355억 원순이익(2005년 9월 현재)7014억 원
135조 원총자산(2005년 9월 현재)103조 원

황진영 기자 budd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