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정보가 얼마나 공유되나
이런 서비스는 그동안 한국신용정보 등 신용평가회사에서 일부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번에는 전체 금융거래 인구 80%의 정보를 금융회사들이 KCB를 통해 공유하게 된다. KCB 출자회사인 국민은행 농협 신한은행 삼성카드 LG카드 삼성생명 대한생명 등 은행 신용카드사 보험사를 포함한 19개 주요 금융회사가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
공유하는 정보에는 주소와 전화번호 e메일 주소 등 신상정보, 소득금액 등 상환능력 정보, 대출 신용카드 보증 담보 연체이력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개인 예금정보는 수집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각종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 공공기관 정보도 일단 수집 대상에서 제외돼 개인 신용정보를 제대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KCB 김정인 상품개발부장은 “신용사회인 미국에서는 공공기관 정보도 신용정보기관에서 수집할 수 있어 금융실적 없이도 대출 등 신용거래가 가능하다”며 “정부와 협의해 공공기관 정보도 다루는 게 과제”라고 말했다.
○ ‘우량정보’가 만드는 새 금융거래
KCB 서비스의 특징은 대출상환 내용이나 신용카드 사용실적 같은 ‘우량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
기존 신용정보 서비스는 연체정보와 같은 ‘불량 정보’ 위주여서 대출 거부를 결정하는 데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우량정보가 있으면 개인 신용에 따라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재산이 적고 담보가 없더라도 신용카드 사용실적이 좋고 대출상환 내용에 문제가 없으면 상대적으로 대출한도가 높아지고 금리는 낮아지게 되는 것.
하지만 신용이 좋은 부유층에게 더 좋은 대출 상품이 제공되고 신용이 나쁜 저소득층에게는 대출이 어려워지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에 대해 KCB 최범수 부사장은 “예를 들어 은행 거래를 할 수 없는 저소득층이 제2금융권 대출에서 신용을 충분히 쌓았다면 그의 신용정보가 은행권에 공유됨으로써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은행의 고객이 될 수 있다”며 “은행도 위험을 피하면서 고객을 확대할 수 있어 이익”이라고 말했다.
○ 신용관리 어떻게 해야 하나
대출금이나 카드대금 연체 등 불량정보를 남기지 않는 것은 기본이다. 그러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신용도가 떨어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유리한 조건으로 신용대출을 받기 위해 시중은행을 모두 돌아다니며 대출조건을 묻는 게 대표적인 사례. 잦은 신용조회는 신용점수를 낮추기 때문이다.
신용카드로 현금서비스를 받아도 감점 요인. 교통 범칙금을 제때 내지 않아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소득수준에 맞지 않게 대출이 너무 많아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김상훈 기자 sanhkim@donga.com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
▼신용관리 10계명▼
① 주거래 금융회사를 정해 꾸준히 거래한다.
② 주소가 바뀌면 반드시 거래 금융회사에 알린다.
③ 월별 신용카드 사용액이 들쭉날쭉하지 않도록 한다.
④ 세금 과태료 등을 체납하지 않는다.
⑤ 공과금 카드대금 등이 자동이체되는 계좌의 잔액이 충분한지 살핀다.
⑥ 보증을 설 때는 금액, 기간 등을 꼼꼼히 살핀다.
⑦ 이미 보증을 섰다면 기간 만료 후 허락 없이 연장하지 않도록 한다.
⑧ 우편물을 꼭 확인한다.
⑨ 자동화기기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 실수로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⑩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를 받았다면 결제일까지 기다리지 말고 미리 갚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