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개발부담금이 매겨질 것으로 예상되는 ‘투기과열지구’의 재건축 추진 아파트는 거래가 끊어지고 호가가 하락하는 등 ‘한파’가 몰아닥치고 있다. 현재 서울 등 수도권 전역과 광역시는 대부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돼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현재 재건축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재건축을 추진 중인 아파트는 서울에만 10만1429채. 이 가운데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송파구 잠실 주공 5단지, 강남구 압구정동 구현대 3차와 4차, 강남구 개포동 주공 1단지 등 중층 및 고층 단지들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치동 신세계부동산중개사무소 박정완(朴貞完) 사장은 “안전진단을 통과하지 못한 은마아파트는 직격탄을 맞은 셈”이라며 “하루 사이 은마 34평형 매도 호가가 2000만∼3000만 원 떨어졌으며 사려던 사람들도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개포동 주공아파트의 호가도 1000만 원 정도 떨어졌으며 다른 재건축 단지들도 거래가 중단된 상태다.
내집마련정보사 함영진(咸英眞) 정보팀장은 “정부 방침대로 각종 조치가 취해지면 추진 초기 단계에 있는 재건축 아파트는 대부분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안전진단을 통과한 아파트도 개발부담금을 물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일반분양이 끝난 재건축 아파트만 안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공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재건축이 위축되면 중장기적으로 이 지역 아파트 공급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시에 따르면 2000∼2004년 강남구에 새로 공급된 아파트의 64.4%, 서초구 아파트의 53.5%, 송파구 아파트의 76.6%, 강동구 아파트의 72.1%는 재건축 아파트였다.
삼성경제연구소 박재룡(朴在(농,롱)) 수석연구원은 “강남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많은데 주요 공급 수단인 재건축을 막으면 기존 아파트로 몰릴 수밖에 없다”면서 “공급 부족으로 몇 년 후 재건축 규제를 풀 때 시장 불안은 더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 |
박중현 기자 sanjuck@donga.com
정임수 기자 imso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