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광고. 회사 사장이 등장해 제품의 장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소비자들은 이 두 광고 중 어떤 것을 더 오랫동안 기억할까. 정답은 첫 번째 광고.
국내 소비자들은 정보제공형 광고보다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감각적인 광고를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지역 성인 남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거나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감각형 광고’를 기억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56.2%로 가장 많았다고 14일 밝혔다.
우스꽝스러운 장면이나 재미있는 내용으로 구성한 유머형도 29.1%가 기억했지만, 정보제공형 광고를 기억하는 소비자는 9.3%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이미지에 강한 20대는 66.3%가 감각형을 꼽았으며, 40대에게는 유머형 광고(34.2%)가 가장 어필했다.
입소문에 의존한다는 응답도 37.4%나 됐다. 특히 금융상품(61.4%), 화장품(55.7%), 식료품(49.9%) 등의 품목은 입소문 의존 비율이 높았다.
‘언론 광고가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73.3%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22.5%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