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발된 아파트의 실거래 가격은 건교부 홈페이지(www.moct.go.kr)에 공개되며 앞으로 4주 동안 국민은행, 부동산114 등 부동산 정보업체 홈페이지에 아파트 시세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앞서 건교부는 지난달 21일 수도권 58개 단지의 아파트 값 담합행위를 1차로 적발해 공개한 바 있다.
그러나 1차 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2차 발표도 서울 강남지역 등 이른바 '버블 세븐' 지역은 대부분 빠진데다 해당 아파트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형평성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건교부는 이날 "지난달 1차조사 이후 '집값담합 신고센터'에 접수된 140개 아파트 단지에 대한 현지조사를 벌여 이 가운데 41개 단지에서 현수막이나 유인물을 이용한 담합행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담합행위가 발견된 단지는 △서울 12개 △인천 8개 △경기 21개라고 건교부는 덧붙였다. 특히 부천시에서는 1차 조사 때 35개가 적발된데 이어 이번에도 16개가 무더기 적발됐다.
이 가운데 일부는 입주도 하기 전에 입주 예정자들이 중개업소에 일정금액 이상으로 거래해 줄 것을 요구했다는 게 건교부 설명이다.
'버블 세븐' 지역에서는 경기 용인시 언남동 신일해피트리가 처음으로 적발됐다. 이 단지 주민들은 자체적으로 만든 동호회를 중심으로 담합을 해왔다.
이에 대해 신일해피트리 동호회 연규은(42) 회장은 "안내방송 등을 통해 암암리에 담합하는 다른 아파트는 놔두고 우리를 지목한 것은 억울하다"고 항변했다.
배극인기자 bae2150@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