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가 중개업소에서 전해들은 가격은 3억4000만 원. 그러나 집주인은 계약 하루 전날 “3억8000만 원이 아니면 안 팔겠다”고 버텼다.
건설교통부가 24일 발표한 실제 거래가격을 보니 3억7000만∼4억600만 원이라며 “3억8000만 원도 싼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김 씨는 “국민은행 시세 하한가가 3억4000만 원”이라고 버텨봤지만 소용없었다.
건교부의 아파트 실거래가 발표 이후 실거래가와 시세가 다른 지역에서 이 같은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건교부가 발표한 실거래가는 6월 말까지 거래된 물량이고 층, 향(向) 등을 감안하지 않은 것인데도 집을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들이 서로 유리한 대로 가격을 조정하자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시세를 발표해 오던 부동산정보업체들도 실거래가와 시세의 차이를 분석하느라 바쁘다.
2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실거래가와 비교해 최근 호가(呼價)가 오른 곳에서는 집을 사려는 사람들의 문의가 끊기고 현재 호가보다 실거래가가 높은 곳은 거꾸로 집주인들이 값을 높여 부르고 있다.
경기 성남시 분당신도시 아파트들은 최근 매수세가 크게 줄어들었다.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삼성한신아파트 주변 늘푸른공인중개사 노성훈 사장은 “최근 중소형 급매물이 일부 소화된 뒤로는 며칠간 사겠다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전했다.
반면에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는 당초 알려진 가격보다 건교부 발표 실거래가가 높게 나오면서 집주인들이 가격을 높이려는 움직임이다.
잠실동 송파공인 최명섭 사장은 “주민들 사이에 34평형 최저가는 9억5000만 원, 최고가는 11억5000만 원으로 알려졌는데 건교부 실거래가는 각각 9억8000만 원, 11억6800만 원이었다”며 “집을 팔려는 사람들이 건교부 실거래가 이하로는 내놓지 않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부동산정보업체들은 실거래가와 시세가 차이 나는 아파트 단지에 대해서는 회원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건교부가 실거래가 전체 자료 제공을 거부하고 있어 정보업체들이 실거래가의 타당성을 제대로 검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 정보업체 관계자는 “건교부 실거래가는 6월 거래분이 가장 최근 것이고 층, 향 등에 따른 가격차도 표시하지 않고 있어 시세와 비교하기 어렵다”며 “건교부가 좋은 취지로 발표한 실거래가가 오히려 시장에서 혼란을 빚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유영 기자 abc@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