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취임한 이용섭(사진) 신임 건설교통부 장관은 취임식 및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장관의 이날 발언이 미묘한 뉘앙스를 지니고 있다고 해석했다.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충정(衷情)으로도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최근 재정경제부로 넘어간 부동산정책의 주도권을 다시 건교부로 갖고 오겠다는 의도도 깔려 있다는 뜻.
행시 14회인 이 장관과 정부 경제팀 수장(首長)이면서 행시로는 한 기수 후배인 권오규 경제부총리 사이의 관계 정립도 관심거리다. 재경부와 건교부가 충돌할 경우 부동산시장이 다시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부동산정책 주도권 갈등 소지
‘11·15부동산대책’ 전까지 부동산정책은 사실상 청와대가 주도했다. 이 때문에 경제부처 간 이견이 문제 될 여지는 많지 않았다.
하지만 정책이 잇달아 실패로 돌아가자 청와대는 지난달 재경부에 부동산정책 입안을 맡겼고, 이후 재경부는 공급 확대 위주의 ‘친(親)시장 정책’을 내놓았다.
그런데 이 장관은 11일 ‘건교부 주무론’을 거론하며 “앞으로 각각의 부동산 문제에 부합하는 맞춤형 대책들이 강구될 것”이라고 말해 ‘재경부=부동산 주무부처’라는 등식에 제동을 걸었다.
11·15대책을 놓고도 의견이 엇갈리는 대목이 있다.
권 부총리는 분양원가 추가 공개와 관련해 지난달 23일 “민간 아파트에 대한 분양원가 공개는 불가피하게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이 장관은 6일 “최소한 공공택지 내 중소형 아파트에 적용되는 분양원가 공개 범위는 현 7개 항목보다 넓혀야 한다”며 분양원가 공개 쪽에 무게를 실었다.
○ ‘재경부 인연’이 어떻게 작용할까
후분양제에 대해서도 권 부총리는 “좀 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11월 23일)고 밝혔다. 반면 이 장관은 취임식에서 “정부의 부동산정책 기조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며 분양제도 개선은 관계 부처와 충분한 논의를 거쳐 빨리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두 사람의 성격 및 관계 등을 들어 큰 마찰은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권 부총리와 이 장관은 모두 현 정부에서 눈에 띄게 ‘출세’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성격도 비교적 모가 나지 않고 무난한 편이다. 권 부총리는 옛 경제기획원, 이 장관은 재무부 출신이지만 중간간부 때부터는 함께 재경부에서 일해 서로 잘 아는 사이다. 하지만 부처를 이끄는 처지에서 해당 부처의 상황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이 장관은 건교부에서 ‘굴러온 돌’인 점을 의식할 가능성이 높고 권 부총리의 리더십이 먹히기 쉽지 않은 점도 변수다.
이승헌 기자 ddr@donga.com
신치영 기자 higgledy@donga.com
주요 부동산정책에 대한 견해차 | ||
권오규 경제부총리 |
| 이용섭 건설교통부장관 |
민간 아파트에 대한 분양원가 공개는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검토해야 | 분양원가 공개 | 공공택지 내 중소형 아파트의 분양원가 공개범위는 현 7개 항목보다 넓혀야 |
좀 더 신중한 검토 필요 | 후분양제 | 분양제도 개선은 관계부처와 충분한 논의 거쳐 빨리 결론. 그러나 정부의 부동산정책 기조는 그대로 |
자료: 재정경제부, 건교부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