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의 석유 매장량은 1150억 배럴로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열린우리당 이라크재건사업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인 한병도 의원이 5일 입수한 한국석유공사의 ‘쿠르드 지역 석유 개발 현황’에 따르면 노르웨이 기업 DNO는 2004년 쿠르드 정부와 일부 광구에 대해 석유생산분배협약(PSA)을 체결하고 지난해 6월과 11월 이미 시추에 성공했다. 터키와 캐나다의 석유회사도 PSA를 맺고 지난해 3차례 시추를 마쳤다.
그러나 한국 기업들은 올 1월에야 컨소시엄을 구성해 현지를 방문했으며 쿠르드 지방정부와 어느 광구를 개발할지 협의 중이다.
한국 정부는 안전을 이유로 쿠르드 지역엔 기업 진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이라크 석유의 75%가 매장된 남부 지역에선 활동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이라크 건설시장 자료’에 따르면 이라크 재건 사업에서도 한국의 수주 실적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기업은 1977년부터 1991년 걸프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73건의 건설 사업을 수주해 64억5000만 달러를 벌었으나 2003년 3월 이라크전쟁이 시작된 이후 지난해 8월까지의 수주액은 3억 달러에 불과했다. 반면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는 2005년에만 23억 달러와 12억 달러를 각각 수주했다.
이에 따라 11∼13일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한국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석유장관, 전력장관 등 25명과 함께 방한하는 알말리키 총리는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한국 정부의 이라크 재건 사업 지원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현재 이라크 정부는 한국 기업들의 이라크 재건 사업 참여를 강하게 희망하고 있다. 한 의원은 1월 이라크 남부 도시인 나자프를 방문했을 때 아사드 아부 길레이 주지사에게서 “한국과 함께 위생 수도망 설계 작업, 전기 공급 준비 작업 등 15개 사업 7641만 달러어치의 재건 사업을 하고 싶다”는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석유가 많은 남부 지역에 대해서도 경제적 이익과 안전을 고려해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