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보험사들이 보험료를 올리는 이유로 꼽는 손해율(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금 지급액 비율)은 큰 변동이 없거나 소폭 하락하는 추세여서 보험료 인상에 앞서 사업비부터 줄여야 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손해보험협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12월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10개 보험사가 자동차보험 부문에 쓴 실제 사업비는 총 1조9045억 원으로 예정사업비(1조8072억 원)에 비해 973억 원 많았다.
○ 사업비 초과지출 다반사
각 보험사는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에 연간 사업비가 어느 정도 들 것인지 추정해 ‘예정사업비’를 정한다. 당초 정한 비용을 넘지 않는 선에서 사업을 진행해 경영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작년 4∼12월 기준 자동차보험 사업비 현황을 공시한 10개 보험사 가운데 실제사업비를 예정사업비 한도 내에서 쓴 보험사는 한 곳도 없었다. 자동차 보험사들이 대리점에 지급하는 수수료를 대폭 늘리거나 직원 복리후생비 등에 지원을 많이 하면서 실제사업비가 예정금액을 넘어선 것이다.
현대해상의 실제사업비는 3018억 원으로 예정사업비보다 136억 원 많았고 동부화재도 109억 원을 초과 지출했다.
이 두 보험사는 사업비 구성 항목 가운데 판매비 부문에 투입된 자금 비율이 가장 높았다. 영업망을 넓히기 위해 대리점에 많은 수수료를 지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화재도 예정사업비로 5639억 원을 책정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37억 원 많은 5676억 원을 사업비로 썼다.
지난해 자동차 보험회사 사업비 지출현황 (단위: 원) | |||
보험사 | 예정사업비 | 실제사업비 | 사업비 초과분 |
삼성화재 | 5639억 | 5676억 | 37억 |
현대해상 | 2882억 | 3018억 | 136억 |
LIG손해 | 2542억 | 2649억 | 107억 |
동부화재 | 2482억 | 2591억 | 109억 |
메리츠화재 | 1400억 | 1557억 | 157억 |
한화손해 | 553억 | 667억 | 114억 |
대한화재 | 554억 | 582억 | 28억 |
그린화재 | 435억 | 556억 | 121억 |
흥국쌍용화재 | 783억 | 856억 | 73억 |
제일화재 | 802억 | 893억 | 91억 |
계 | 1조8072억 | 1조9045억 | 973억 |
2006년 4∼12월 기준. (자료: 손해보험협회) |
○ 보험료 인상 우려
보험료는 손해율과 사업비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데 올해 초 보험사들은 손해율이 크게 올라 경영이 어렵다며 보험료를 올렸다.
하지만 금감원에 따르면 일반 손보사의 손해율은 2006년 3월 말 81.80%에서 12월 말 81.73%로 0.07%포인트 감소했다. 대형 보험사 가운데 삼성화재, 현대해상, 메리츠화재 등의 손해율은 평균 감소 폭(0.07%포인트)보다 많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보험료에서 사업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순사업비율은 0.51%포인트 상승했다. 일부 보험사의 손해율은 떨어졌지만 사업비 지출이 더 늘어나 손실 규모가 커진 셈이다.
한 대형 보험사 관계자는 “실제 집행된 사업비가 예정사업비보다 많아진다고 당장 보험료를 올리긴 어렵지만 중장기적으로 보험료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동차 보험회사의 손해율 추이 (단위: %) | ||
보험사 | 2006년 3월 말 | 2006년 12월 말 |
삼성화재 | 82.29 | 80.85 |
현대해상 | 82.54 | 82.04 |
LIG손해 | 80.31 | 82.49 |
동부화재 | 81.07 | 82.18 |
메리츠화재 | 81.89 | 80.81 |
전체 일반보험사 평균 | 81.80 | 81.73 |
손해율은 보험료 수입 대비 보험금 지급액 비율. (자료: 금융감독원) |
○ 사업비 구조조정 필요
금융 감독당국은 자동차 보험사들의 초과 사업비 지출 규모에 대해 수시로 감독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에서 사업비가 낭비되는지를 밝히진 못하고 있다.
보험료율 산정을 담당하는 한 보험사 관계자는 “자구 노력을 하라고만 할 뿐 문제가 있는 분야를 지적받은 적은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보험소비자연맹 조연행 사무국장은 “보험사가 대리점에 지급하는 수수료 비율이 정상 수준의 2배인 15% 선에 이르는 경우가 많고 보너스 등 복리후생비가 과다하게 책정되는 사례도 있어 내핍 경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수용 기자 legma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