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유명 베이커리 회사의 협력업체 직원이 “도넛 공장의 위생 상태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을 4월 23일 인터넷 포털의 토론 게시판에 올린 것. 이 직원은 “제품 포장지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화학물질이 들어 있다”고 폭로했다.
이 사안은 일파만파(一波萬波)로 빠르게 확산됐다. 흥분한 누리꾼들은 인터넷 카페나 개인 블로그로 해당 게시물을 퍼 나르기 시작했다.
문제는 공장의 위생 상태와 관련된 내용이 사실이 아니었다는 점. 해당 회사는 관청의 조사에서 ‘무혐의’ 판정을 받았고 공장 직원은 산재(産災)협상 과정에 불만을 품고 글을 쓴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었다. 해당 회사는 매출 손실과 브랜드 이미지 훼손으로 인해 막대한 금전적 피해를 봤다고 밝혔다.
블로그와 손수제작물(UCC)을 중심으로 참여와 개방이 키워드가 되는 ‘웹2.0’ 시대가 되면서 기업의 ‘온라인 리스크(위험)’도 커지고 있다.
○ 뛰어난 확산 속도와 파급력
블로그와 UCC 동영상 등 웹2.0 저작물이 기업들에 위험 요소가 되는 것은 확산 속도가 빠르고 파급력이 이전의 인터넷 게시판보다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블로그 전문업체 테터툴즈의 이미나 팀장은 “기존 게시판은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지 않으면 볼 수가 없어 노출에 한계가 있다”며 “블로그는 자동알림(RSS) 기능을 통해 새로운 내용을 이웃 블로거들에게 바로 알려 준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블로거들의 토론과 관련 글에 서로 링크를 거는 기능(트랙백)을 통해 이슈가 순식간에 커지는 ‘눈 덩이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해외에서는 2004년 9월 미국의 자물쇠 제조업체 크립토나이트의 50달러짜리 자물쇠를 볼펜으로 간단히 여는 동영상이 한 블로거에 의해 공개된 뒤 10일 만에 1800만 명에게 유포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