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권시장이 최근 몇 년간 상승세를 이어 왔지만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 미국이나 일본의 사례처럼 대세 상승 후의 장기조정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일 ‘주요국의 증시발전 경험과 정책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하고 “증시 장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증시 수급기반과 실물경제의 성장기반을 동시에 확충하는 종합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증시의 대세상승기인 1994∼99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연말 기준)는 3,834에서 11,497로 3배 수준으로 상승했고 일본은 1984년 말 11,543엔이었던 닛케이평균주가가 1989년 말 38,916엔까지 올랐다.
그러나 미국은 그 후 6년간 하락세가 이어져 2005년 말 다우지수는 10,717까지 떨어졌고 일본은 13년에 걸쳐 침체 국면이 지속되면서 2002년 닛케이주가가 8,578엔까지 하락했다.
이 보고서는 “증시가 단기간에 급상승하면 실물경제 둔화 등 부정적 요인에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경제성장률 둔화 등으로 일단 주가가 하락세로 반전하면 소비 둔화→기업수익률 저하→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경상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증시 장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규제완화와 유망산업 육성, 기업 투자 활성화 등 실물경제 성장기반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배극인 기자 bae2150@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