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는 18일 ‘한국의 경제규제 비용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전체 경제규제 비용을 시장규제와 행정조사 부담, 납세순응(납세에 드는 시간비용, 기타 잡비) 등 3가지 항목으로 구분해 추정한 결과 78조1000억 원에 이르렀다”며 “가구당 연평균 488만 원을 규제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는 셈”이라고 밝혔다.
총규제 비용은 2006년 국내총생산(GDP)의 9.2% 규모로 조세부담률(GDP 대비 21.2%)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산업 전체로 볼 때 규제비용은 사업체당 평균 2436만 원, 종사자 1인당 515만 원, 임금총액의 7.3%인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로는 공공·사회·개인서비스업, 금융·사업서비스업, 건설업, 제조업이 전체 규제 비용의 74.2%를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근로자 1인당 규제 비용이 1428만 원으로 중소기업 근로자의 1045만∼1170만 원보다 많았다.
이 보고서는 “GDP의 9.2%에 이르는 경제규제 비용은 규제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며 “규제부담이 큰 산업과 기업에 규제개혁 노력을 집중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배극인 기자 bae215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