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에서 롯데에 대한 불매운동까지 벌어지는 등 피해가 확산되자 롯데는 적극적인 진화에 나섰지만 오해를 100% 불식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최근 독도 괴담, 인터넷 종량제 괴담, 광우병 괴담 등 ‘인터넷 5대 괴담’을 계기로 과장 왜곡된 일부 ‘온라인 여론’의 폐해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기업들의 피해도 적지 않다.
재계 관계자들은 “기업의 약점을 인터넷에 올리겠다”고 협박하며 금품을 요구하는 일부 악덕 소비자(블랙 컨슈머)나 사이비 언론매체들의 횡포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호소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300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자 관련 애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87.1%의 기업이 부당한 요구를 하는 블랙 컨슈머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기업의 68.9%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인터넷과 언론에 유포하겠다는 위협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인터넷의 속성을 악용(惡用)하여 기업을 협박해 금품이나 향응을 요구하는 사이비 언론의 부작용도 만만찮다. 이런 문제점은 일부 포털이 기사의 신빙성과 언론사의 공신력이 낮더라도 자극적이고 선정적 내용의 기사를 검증 없이 올리면서 더 심각해졌다.
A기업의 K 홍보팀장은 지난해 회사 총수의 사생활 관련 폭로 기사가 한 포털에 뜬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기사를 쓴 곳은 ‘듣도 보도 못한 매체’로 떠도는 풍문을 검증도 하지 않고 기사화한 것이었다. K 팀장이 연락하자 이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한번 만나자”고 요청했고 이후 이런저런 명목의 금품을 노골적으로 요구해왔다.
K 팀장은 소송도 생각했으나 결국은 적당한 선에서 합의할 수밖에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인터넷이 무서웠기 때문입니다. 소송을 하면 진위(眞僞)와 관계없이 인터넷에 처음 보도됐던 내용이 다른 매체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고 이 과정에서 회사나 총수의 이미지가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
또 다른 기업의 임원은 “일부 마이너 매체는 ‘카더라’ 수준인 줄 알면서도 금품을 뜯기 위해 고의로 보도한다”며 “심지어 엉터리 기사를 우편으로 먼저 보낸 뒤 연락을 해오거나 요구를 듣지 않으면 더 악의적 기사를 내보내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는 “개별 기업 차원에서 대응하면 사이비 매체들이 똘똘 뭉쳐 인터넷을 통한 루머 확산 등 파상공세에 나서기도 한다”며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뾰족한 대응책을 찾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문제가 생기면 일단은 ‘힘 센 기업이 잘못’이라고 보는 사회 일각의 반(反)기업 정서도 기업들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포털의 한 관계자는 “포털도 기사제휴 심의위원회를 가동하는 등 일부 문제 언론이나 소비자가 포털을 창구로 활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한계가 있다”며 “우리도 이들 매체의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계 관계자들은 “포털이 기사 제휴를 심의한다지만 1인 블로그나 검색창에 나타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재가 없다”며 “폐해가 너무 큰 만큼 사회 전반적으로 이 문제에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극인 기자 bae2150@donga.com
신성미 기자 savori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