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2월 발효된 교토의정서는 세계 각국의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환경친화경영에 새로 눈을 뜨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됐다.
교토의정서는 지구 온난화 문제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로 떠오르자 기후변화협약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한 것으로 1997년 12월 일본 교토(京都)에서 채택됐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1차 의무감축이 시작됐으며 이행대상 국가는 미국과 호주, 캐나다, 일본 등 모두 38개 국가에 이른다. 이들 국가는 2008∼2012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보다 평균 5.2%를 감축해야 한다.
한국은 1차 의무감축 대상국가에서는 제외됐으나 앞으로 대상국가에 포함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SM REPORT’ 기사목록 |
특히 2013년 이후의 지구 온난화 방지대책을 담을 포스트 교토의정서가 이르면 내년 중 합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와 국내 기업들의 환경친화경영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6년 이산화탄소 기준으로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증가율도 매우 높은 편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의 최광림 전략정책팀장은 “기후변화라는 환경이슈를 적기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생존이 불확실한 시대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대기업 중심으로 환경친화경영을 도입하는 추세이지만 중소기업도 지속가능 경영을 위해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최 팀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강화는 중요한 사회책임 테마 가운데 하나”라며 “대기업들은 중소기업이 직접 나서기 어려운 환경친화경영 체제 도입과 관련해서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차지완 기자 ch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