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관광객 증대 효과
경제 도약의 기회 될수도
올해로 29회째를 맞은 올림픽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창설된 1894년 이후 올림픽은 1896년 그리스 아테네를 시작으로 이번 2008년 중국 베이징 올림픽에 이르기까지 어느덧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지금까지 올림픽을 가장 많이 유치한 나라는 미국으로 총 4번 개최했다. 다음으로 영국 프랑스 독일 그리스 등이 2번씩 개최했다. 따지고 보면 전 세계에서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는 18개국에 불과하다. 그만큼 올림픽 개최는 그 국가가 세계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위상을 상징한다. 실제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는 옛 소련과 중국을 제외하면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돼 있다. 한국도 1988년 올림픽을 치른 뒤 1996년에 OECD에 가입했다.
2012년 올림픽 개최지는 영국 런던으로 결정됐고 2016년 올림픽 유치를 놓고 현재 일본 도쿄, 스페인 마드리드, 미국 시카고 등이 치열하게 경합 중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많은 나라가 올림픽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걸까?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비용 편익 분석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올림픽을 유치하면 단기적인 경기 호황은 물론이고 장기 발전의 기초가 되는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올림픽을 개최하려면 교통 통신망 구축, 경기장 및 호텔 등의 건설이 필요하다. 또 경기 호황으로 일자리가 늘어나고 많게는 수백만 명에 이르는 외국인의 방문으로 관광 수입이 크게 증가한다. 한국도 1988년 서울 올림픽을 통해 34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9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했다. 여기에 외국의 방송국과 후원사 등을 통해 유입된 막대한 자금까지 더하면 올림픽 개최에 따른 매력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올림픽 개최는 동시에 경제적인 부작용을 유발한다. 그 자체에 막대한 비용이 드는 데다 대규모로 건설된 각종 시설이 올림픽이 끝나면 거추장스러운 유휴시설로 남아 버릴 수 있다. 또 올림픽에 따라 임시 고용된 인력들이 얼마 안 돼 실업자로 전락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시기적으로 보면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는 일반적으로 개최 후보다는 개최 전에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2년 핀란드 헬싱키부터 2000년 호주 시드니까지 올림픽의 경제적 성과를 개최 연도 전후 4년간 경제성장률의 변화로 살펴보면 개최 전에는 평균적으로 성장률이 0.7%포인트 높아지지만 개최 후에는 오히려 0.5%포인트 낮아졌다.
이번 올림픽을 통해 중국 경제도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그러나 아직 올림픽의 손익계산서가 나오지 않은 만큼 중국 경제가 지금처럼 성장을 지속할지는 두고 볼 일이다.
장 경 호 인하대 사회교육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