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대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는 수도권 규제완화 방침과 교과서 수정권고, 법치주의 확립 방안 등을 놓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특히 비수도권 출신 의원들은 여야 가릴 것 없이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한나라당 이계진 의원은 “정부가 지방과 수도권의 동반성장 논리를 들고 나오는 것은 사실상 지방에 대한 아무런 대책 없이 수도권 규제를 풀고 보자는 뜻을 감추고 있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한승수 국무총리는 이에 “규제를 완화해 국내 기업의 해외 이주를 막고 해외 기업들이 국내로 들어오게 해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했다”며 “앞으로 지방 발전 후속대책이 계속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가 교과서 중 일부를 수정하도록 권고한 것에 대해 “수정권고 내용이 자구(字句) 수정에 불과하며 실제로 좌편향된 부분이 없다”면서 “정권이 교체됐기 때문에 역사교과서를 개편한다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한 총리는 “교과서가 광복을 부정적으로 기술하고 분단 책임을 한국에 전가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정체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기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 전병헌 의원이 “국가인권위원회와 국제앰네스티가 촛불시위 때 경찰의 강경 진압이 있었다고 발표한 조사가 아직도 편향적이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한 총리는 “불법시위를 용납하라는 건가. 불법시위가 생기면 여야 할 것 없이 의원이 나서서 그런 국민을 말려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국정감사장 욕설 파문을 언급하며 “이런 막말과 쌍소리야말로 시정잡배보다도 못한 수준의 언행”이라며 유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에 한 총리는 “(유 장관의 언행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유 장관이 진솔하게 사과한 점을 감안해 달라”며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길진균 기자 leon@donga.com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