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건설사 60곳 ‘채권단 협약’ 신청

  • 입력 2008년 11월 17일 02시 49분


“가입 않을땐 생존 불리”… 구조조정 급물살

저축銀도 PF 실태조사… 이달 중 대책 마련

100대 건설사 중 60여 곳이 14일까지 대주단(채권단) 자율협약 가입을 신청하는 등 건설업체와 저축은행 등을 대상으로 한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정부가 구조조정 전담기구인 ‘구조개혁단’을 출범시키기로 하는 등 은행에만 맡기지 않고 직접 칼을 뽑아 들었기 때문이다.

▶본보 14일자 A1·2면 참조

▶ 채권은행, 자금지원-퇴출 대상 건설업체 직접 선정

▶ 정부, 구조조정 전담기구 8년만에 부활

16일 한 시중 은행 기업 심사담당 부행장은 “100대 건설사 중 정상화할 가능성이 큰 곳을 선정해 권유를 하고 있으며 그중 60여 곳이 지난주 금요일까지 대주단 협약 가입을 신청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은행의 다른 관계자는 “C등급 이하 기업들은 신청해도 안 받아줄 가능성이 높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자금 지원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100대 건설업체의 등급을 A∼D 4개로 나눈 후 A, B등급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주단 가입을 권유했다. 당초 건설사들은 협약에 가입할 경우 ‘자금 사정이 어렵다’고 알려질까 봐 이를 기피했지만 ‘가입 권유를 받지 못할 경우 생존이 쉽지 않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태도를 바꾼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대출을 연장하거나 추가 대출을 해줄 경우 인원 감축, 자산 매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할 방침이다.

저축은행에 대해서도 구조조정 작업이 본격화됐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이 간여한 899개 전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실태 조사 및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달 안에 구체적 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우선 저축은행에 인수합병(M&A), 증자를 비롯한 자구책 실행을 강하게 요구한 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이 부실채권을 인수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할부금융사(캐피털회사), 신용카드회사 등의 구조조정도 다음 달 중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음 달 중 10조 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가칭)를 조성해 할부금융채, 카드채 등을 사줄 계획. 신용등급 ‘BBB+’ 등급 이상 채권만 매입할 예정이어서 등급이 낮은 회사들은 대주주의 자본 확충 등이 없으면 M&A 등을 통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신수정 기자 crystal@donga.com

류원식 기자 rew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