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9일 내놓은 ‘정유산업의 경쟁상황과 가격결정 패턴’ 보고서에 따르면 1997년 1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국제 휘발유 가격(싱가포르 국제현물시장 기준)이 L당 1원 상승한 달에 국내 휘발유의 세전(稅前) 소매가격은 평균 0.55원 올랐고, 그 영향으로 이후 3개월간 국내 휘발유 값은 1.15원 상승했다. 반면 국제 휘발유 가격이 L당 1원 떨어진 달에 국내 휘발유 가격은 0.30원 내렸으며, 그 영향으로 이후 3개월간 휘발유 값은 0.93원 하락했다.
한편 공정위가 지난해 11월 서울 시내 694개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을 분석한 결과 주변에 다른 주유소가 많을수록 기름값이 싼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주유소 반경 1km² 안에 경쟁 주유소가 1개 늘어나면 휘발유 가격은 L당 평균 2.5원 낮아졌으며, 인접 주유소와의 거리가 100m 늘어나면 휘발유 값은 2.3원 높아졌다.
또 정유회사가 운영하는 직영 주유소가 정유회사와 대리점 계약을 맺은 자영 주유소보다 기름값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세차시설이 있는 주유소는 없는 주유소에 비해 휘발유 가격이 L당 약 9원 비쌌다.
장원재 기자 peacechao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