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구매력 크게 줄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물가상승률을 배제한 채 산정한 지난해 실질 GNI는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실질 GNI가 감소세를 보인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8.3%) 이후 처음이다. 국내총생산(GDP)이 소폭이나마 늘었는데도 GNI가 감소한 것은 교역조건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최춘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국제 유가와 원자재 등 수입물가가 크게 올랐지만 반도체, 휴대전화 등 주력 수출상품 가격은 오히려 떨어지면서 교역조건이 크게 악화됐다”며 “이 때문에 국민의 실질소득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구매력 감소 충격은 해외에서 달러화로 물품을 구매할 때 훨씬 크게 나타난다. 1인당 GNI가 원화 기준으로는 지난해 5.2% 증가한 반면 미국 달러화 기준으로는 11.4% 감소했기 때문이다. 원-달러 환율이 연간 18.7% 상승하면서 원화가치가 급락한 것이다.
소득이 줄면서 국민의 저축률도 하락했다. 세금과 이자를 제외한 가처분소득 중 쓰고 남은 돈의 비율을 뜻하는 개인 순저축률은 지난해 2.5%로 2007년(2.6%)보다 0.1%포인트 떨어졌다. 그나마 이들 수치도 올해부터 국민소득 기준연도가 2000년에서 2005년으로 바뀌면서 상당부분 오른 것이다. 기존 기준연도로 계산할 경우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은 1만7700달러 선에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영택 한은 국민소득팀장은 “기준연도를 바꿈에 따라 기술이나 서비스 수준의 향상이 반영되면서 국내총생산 및 국민소득이 5%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났다”며 “소득 수치가 증가하면서 저축률도 예상보다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 올해 국민소득은 더 줄어들 것
올해 국민소득도 2008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성장률 공식전망치가 ―2%일 정도로 마이너스 성장이 확실시되고 있고 연평균 환율도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실물경제실장은 “올해 평균 환율이 1250원일 경우 환율 효과만으로도 달러 기준 국민소득은 작년보다 12% 줄어든다”며 “성장률에 따라 하락폭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윤 기자 jaeyu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