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주택 거래, 그중에서도 아파트는 올 1월 1만8000채에서 2월 2만8000채로 1만 채 이상 증가했다. 올 1월 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도 지난해 말 대비 전국적으로 3000채 정도 줄었다. 특히 경기 지역은 올 2월까지 전체 미분양 아파트의 10% 정도가 감소했다.
이 같은 거래량 증가나 미분양 감소는 주목할 만한 일이다. 주택시장의 불황기 재고가 많은 상태에서 수요가 늘어나면 초기에는 거래량이 늘고 뒤이어 가격이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전세가격도 미미하지만 전국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강세를 보이는 지역도 나타나고 있다. 전세가격은 전형적인 주택경기 선행지표이기 때문에 역시 향후 시장에 대한 전망을 좋게 하고 있다.
그러나 낙관적인 징후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도 금융위기가 실물위기로 번지면서 고용이나 임금에 타격을 주고 있고 주택가격 자체도 아직 전체적으로는 하락하는 상태다. 한국은 주택 매매가격이 1분기(1∼3월) 전체로 마이너스를 나타냈고 가격이 오른 지역은 강남의 재건축시장으로 한정돼 있다. 더욱이 3월 들어서 거래량이 줄고 있어 아직 바닥을 얘기하고 시장 회복을 예견할 상황은 아니다. 전체 경기도 정책적으로 저금리를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공급하고 조기 재정집행을 함으로써 고용이나 소비의 급속한 하락을 막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
다만 부동산 규제 완화와 저금리 환경에서 부동자금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국지적 가격 상승의 요인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주택의 수급과 무관하게 단지 유동성 유입에 의해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기초 체력이 받쳐주지 않는 가격상승은 곧 가라앉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경제의 본격적 회복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동산의 지나친 국지적 가격상승은 오히려 경계해야 한다.
이상영 부동산114 사장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