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일생에 세 번의 정년을 맞게 됩니다. 제1의 정년은 타인이 정년을 결정하는 ‘고용 정년’입니다. 제2의 정년은 자기 스스로가 정하는 ‘일의 정년’, 제3의 정년은 하느님의 결정에 따라 세상을 떠나는 ‘인생 정년’입니다.
종신고용제가 유지되고 평균수명이 짧았던 시절의 직장인들은 한 직장에서 정년까지 무사히 근무하는 것이 하나의 목표였습니다. 여성들도 안정된 직장에서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는 남성을 훌륭한 결혼 상대자로 생각했습니다. 정년퇴직 후의 남은 인생 또한 그다지 길지 않기 때문에 퇴직금만으로도 어느 정도 노후자금을 충당할 수 있었습니다. 자녀들도 교육만 받으면 부모들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던 시대였습니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종신고용제가 급격하게 붕괴되면서 직장인이 행복했던 시대는 종언을 고했습니다. 회사를 몇 군데 옮겨서 근무한다 해도 40대 중반만 되면 고용정년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우리보다 먼저 이런 경험을 한 선진국 직장인들은 젊은 시절부터 인생 후반의 설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준비합니다. 고용 정년 후 30년 이상의 기간에 좀 더 돈을 벌기 위한 인생을 살 것인지 혹은 자기 꿈의 실현을 위한 인생을 살 것인지, 사회에 봉사하는 인생을 살 것인지를 고민합니다. 혹은 이 세 가지를 병행하면서 살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직장인들도 이제는 인생에서 세 번 맞이하는 정년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현재의 직장에서 고용 정년이 가까워졌다고 생각되면 또 다른 직장을 찾아 고용 정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적당한 기회에 창업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의 정년이 될 때까지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도 있겠지요. 아니면 자기 꿈의 실현을 위한 인생이나 사회 환원적인 인생을 살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상황이 온 것입니다.
미래에셋 투자교육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