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ek]국내 시장금리 상승-美 FRB 금리정책 ‘핫 이슈’

  • 입력 2009년 6월 22일 02시 56분


주식시장이 조정국면에 들어섰다. 주가가 큰 폭으로 밀리지는 않았지만 코스피 1,400 선에서 팽팽한 매매공방을 벌인 뒤 조정으로 방향을 잡았다. 외국인의 공격적인 매수세가 한풀 꺾였다는 점과 주요 8개국(G8) 정상회의에서 출구전략(exit strategy)이 논의됐다는 점, 북한의 돌출적 행동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했다는 점이 주가 조정을 야기했다.

또 다른 시각에서 지금의 장세를 들여다보면 지금은 장세 성격에 변화가 나타나는 과도기로 볼 수 있다. 주가가 바닥에서 1,400 선까지 올라오기까지 무엇보다도 유동성의 힘이 가장 컸다. 여기에 일련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주가 상승에 힘을 실어줬다. 이로 인해 생각보다 강한 유동성 장세가 펼쳐진 것이다. 하지만 드디어 유동성 장세가 제 역할을 다하고 무대 뒤로 사라져가면서 상황이 변하고 있다.

유동성 장세가 일단락됐다고 보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주가의 단순 가격 매력이 떨어졌다. 지수가 50% 이상 상승하는 과정에서 심지어 대형주 가운데서도 2, 3배 이상으로 상승한 종목이 속출했다. 물론 향후 기업실적이 회복되면 기업가치와 비교해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그렇지만 단순하게 눈에 비치는 절대 주가 수준은 예전만큼 저렴하지 않다.

또 기업이 증시를 통해 대규모로 자본을 조달하고 있다. 연초 이후 기업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유상증자 기업공개 등을 통해 자본을 조달한 규모가 7조 원에 이른다. 대규모 자본조달에 성공할 만큼 시장이 안정을 찾았다고 볼 수 있지만 유동성 장세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금리상승은 다양한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경기회복의 기대감과 향후 물가상승의 우려,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이 금리 상승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요한 점은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주식의 기대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경기회복이 눈으로 확인될 경우 주가와 금리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현상은 유동성 장세가 아닌 실적 장세에서 나타날 것이다.

결국 △주가의 단순 가격 매력 희석 △기업의 대규모 자본 조달 △시장금리의 상승은 유동성 장세가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음을 시사한다. 유동성 장세 이후 실적장세를 기대해 볼 수 있지만 과거 경험에 비춰 볼 때 그 이전에 조정국면이 먼저 찾아왔다. 지금도 과거와 유사한 흐름으로 시장이 움직이고 있다.

이번 주에는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에 주목해야 한다. 무엇보다 23, 24일로 예정된 미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회의 결과가 중요하다. 정책금리는 동결하겠지만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시각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또 신흥국가들의 미국 국채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국채금리 안정을 위한 FRB의 해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領쳅置Ⅵ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