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러 가치는 몇 차례 널뛰기한 끝에 2008년 초반 수준까지 내려왔다. 달러당 원화 환율도 30%씩 등락을 거듭한 끝에 지금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각국의 활발한 환율 랠리는 이번 금융위기가 얼마나 범세계적으로 충격을 줬고 또한 글로벌 자금 흐름이 얼마나 역동적이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최근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유동자금의 움직임이 활발했고, 아시아 지역의 주식형 자금 유출입이 컸다는 점은 이들 지역이 세계 여유 자본의 뜨거운 각축장임을 보여준다.
글로벌 금융위기 초기에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커진 데다 주변국 자금이 위기의 진앙인 미국으로 마구 쏠리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였다. 하지만 금융위기가 진정되고 유동자금이 아시아 지역으로 역류하면서 달러는 재빨리 약세로 방향을 틀었다. 최근 한국 증시에 몰려든 외국인투자가는 이런 환경 속에서 ‘꿩 먹고 알 먹기’ 식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낮은 금리로 차입한 자금을 가격이 떨어진 신흥국 자산과 통화에 투입해 자본 이득을 올리는 것은 물론이고 달러 약세까지 피하고 있는 것이다.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지만 당분간 국내 증시는 외국인에 의해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발(發) 유동자금의 행보가 앞으로 한국과 아시아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뜻이다. 외국인들이 한국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한국 주가의 상대가치일 것이다. 하지만 이를 논외로 한다면 가장 중요한 변수는 바로 달러의 방향성이다. 달러당 1250원 부근의 원화 가격이 아직은 외국인투자가들에게 녹색신호등으로 비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자금을 뿜어내는 미국의 ‘환율 신호등’이 문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 글로벌 달러는 기술적으로 위든 아래든 높은 변동성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여름 증시의 최대 변수는 아마도 환율을 둘러싼 긴박한 소식들이 될 듯하다.
김한진 피데스투자자문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