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3곳 중 2곳은 수익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투자를 하는 대신 차입금을 상환하거나 미래를 위해 남겨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상장(上場) 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기업의 경영 성과와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8.6%가 올해 발생할 수익의 최우선 사용처로 차입금 상환(34.4%)이나 내부 유보(34.2%)를 꼽았다. 신규투자를 하겠다는 기업은 23.7%로 나타났다. 경제위기 여파로 재무안정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높은 것이다.
기업 규모별로 대기업은 차입금 상환(36.9%)을 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현금 내부 유보(28.0%)와 신규투자(27.7%)를 꼽았다. 반면 중소기업은 현금 내부 유보(45.1%), 차입금 상환(29.7%), 신규투자(16.6%) 순이었다.
발생한 수익을 내부에 유보하는 이유는 ‘미래 투자자금 준비’라는 대답이 43.1%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경기 불황으로 인한 위험 대비’(27.0%), ‘채무 상환’(16.6%), ‘수익성 저하 대비’(10.0%)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73.0%는 올해의 전반적인 경영성과가 지난해보다 호전될 것이라고 전망한 반면 악화될 것이라고 답변한 기업은 27.0%에 그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