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신용카드사의 ‘포인트 선(先)지급’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소비자가 자동차나 가전제품을 구매할 때 카드사가 먼저 포인트를 줘 할인판매한 뒤 카드 사용실적으로 갚는 ‘포인트 선지급’ 제도가 과소비를 부추기고 소비자의 현금상환 부담을 키운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각 신용카드사에 포인트 선지급 한도를 70만 원 이내로, 포인트 상환기간은 36개월 이내로 운영해야 한다는 ‘포인트 선지급 상품 운영 관련 유의사항’을 발송했다고 4일 밝혔다. 금감원은 도시가구의 평균 소비지출 규모를 고려해 상품별 한도와 상환기간을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또 카드사들은 최근 6개월 월평균 신용판매 이용금액과 포인트 평균 적립률, 상환기간을 고려해 회원별 포인트 선지급 이용한도를 관리해야 한다. 예컨대 월평균 신용판매 이용금액이 100만 원인 고객이 자동차를 사면서 미리 포인트를 지급받을 경우 상환기간 36개월에 포인트 평균 적립률 1%를 적용하면 36만 원까지만 포인트 선지급이 가능하다.
금감원은 카드사들이 포인트 선지급 상품 이용회원의 평균 신용판매 이용실적 증가율(20∼30%)을 고려해 회원별 한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조치로 카드사들의 포인트 선지급이 상당부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10개 카드사가 포인트 선지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5개사의 포인트 선지급 한도가 100만∼150만 원으로 70만 원을 초과한다. 상환기간도 5개사가 최장 4∼5년까지 3년을 넘어서는 범위에서 운영하고 있다.
또한 카드사들은 포인트 선지급 서비스를 이용하면 결제금액의 최고 10%까지 적립해 준다고 광고하지만 카드업계의 실제 평균 적립률은 0.9%에 그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카드결제에 따라 쌓이는 포인트가 아닌 현금으로 선지급 포인트를 갚아야 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
금감원이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현재 회원이 갚아야 할 신용카드 선포인트 잔액은 1조3000억 원에 이른다. 선지급 포인트 중 소비자가 현금으로 상환한 금액은 2007년 353억 원에서 2008년 1291억 원, 지난해는 상반기에만 1050억 원으로 급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