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지출 ‘구조조정’ 착수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5월 10일 03시 00분


정부, 유럽 금융위기 대응 긴급대책 마련

정부는 현재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국가재정을 5년 안에 균형 또는 흑자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지출 증가율을 수입 증가율보다 2∼3%씩 낮게 유지하고, 재정건전성관리위원회를 설립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상태를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정부는 9일 경기 과천시 중앙공무원교육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10∼2014년 재정운용 전략’을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그리스 등 일부 유럽국가가 재정을 방만하게 운용한 결과 국가부도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고 지적하고 재정건전성 조기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재정건전성 달성 시한을 2014년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2013년 재정적자 규모를 당초 예상했던 국내총생산(GDP) 대비 0.5%에서 0.3%로 줄이고 2014년부터는 흑자로 바꿀 계획이다.

“줄일 수 있는 세출은 줄인다” 재정부문 출구전략 사실상 개시


각 부처 신규지출 만들땐 기존 세출부터 줄여야
재정지출 상한 법제화 추진 …재정악화 지자체 교부금 축소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목표도 ‘2014년 33% 미만’으로 정하고 연간 세출 증가율을 세입 증가율보다 2∼3%포인트 낮은 선에서 관리할 방침이다. 국가채무비율은 작년 말 현재 33.8%로 현 기조가 지속되면 2013년에는 35.9%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세부 방안으로는 우선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늘려 놓은 ‘재량적 지출’을 10%씩 줄일 방침이다. 재량적 지출은 공무원 급여나 복지지출 등 법으로 정한 의무지출을 뺀 고용 보조금 등 한시적인 세출 항목을 뜻한다. 사실상 재정부문에서 출구전략이 시작된 셈이다.

또 각 부처가 신규로 의무지출 항목을 추가할 때는 기존 사업의 세출을 구조조정하고 더불어 별도의 재원조달 방안을 내놓도록 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재정을 쓰려면 그에 대응하는 세입 항목을 갖고 오거나 다른 지출을 줄일 방안을 내놓도록 하는 ‘PAYGO(Pay As You Go) 원칙’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부는 또 재정을 방만하게 운용하지 못하도록 지출 한도 등을 정해 놓는 ‘재정준칙’을 법제화할 계획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회의에서는 재정준칙에 반대하는 의견이 있어 추후 검토하기로 했지만 내부적으로는 도입을 추진하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전했다.

또 정부는 세원(稅源) 확보를 위해 에너지 부문에서 세목(稅目)을 신설하기로 하고 이를 검토 중이다. 대표적인 에너지세인 탄소세는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많지만 에너지세는 녹색성장 기조와도 맥을 같이하는 만큼 다양한 세원을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재정 위기의 시한폭탄으로 지적되는 지방재정에 대한 감시 감독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재정건전성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지자체의 재정지표를 상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재정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지자체에는 교부금 축소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선진국이 되면 저성장이 불가피하다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경제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고 있다”며 “건전재정을 이루면서도 고성장을 하는 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재정 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며 “노인이 아닌 노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소액의 소득 지원을 하기보다는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제공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노인들에게 삶의 활력을 주면 정부 부담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홍수용 기자 legman@donga.com

하임숙 기자 arteme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8

추천 많은 댓글

  • 2010-05-10 09:46:53

    궁궐 같은 청사 짓고 별 쓸모 없는 호화 문화회관 짓고 남산에 물을 끌어올려 인공개천을 만드는가 하면 온갖 낭비적 축제쇼를 벌이며 세금 죽이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납세자들이 그 돈을 어떻게 버는지 그리고 어떤 데 써주기를 바라는 도무지 관심이 없다. 예로부터 왕정시대이든 민주시대이든 세금을 걷고 쓰는데 제 정신이 아니고 낭비를 일삼은 나라치고 오래 지탱한 나라가 없다. 정부는 필요하면 입법을 해서라도 세금낭비를 단속하고 막아야 나라 장래가 있다.

  • 2010-05-10 09:46:01

    지금 나라 장래가 의심스럽다.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처럼 누구에게나 가능성이 열려있는 우리나라이기에 모두가 열심히 억척으로 성취를 위해 일한다. 그래서 기업이든 개인이든 이렇게 피땀 흘려 번 돈으로 세금을 낸다. 그러나 지자체이든 국가이든 썩을 놈의 공무원들이 여전히 세금낭비가 너무 심하다. 세금을 쓰더라도 시민생활편익 증대, 생산증대나 판로확대 등에 현재 또는 장래에 먹고 사는 일에 도움되도록 값지게 썼으면 좋겠는데 멀쩡한 도로 뒤엎고 가로수를 비싼 소나무로 바꾸고 (계속)

  • 2010-05-10 09:07:30

    국가경재 문제를 보면 수출해서 돈을 벌면 주로 임금으로 지불되어 그유동자금이 경재를 운용한다. 120만 동남아 외국인 송금액수가 75%에 이른다. 싸이판 괌으로 원정출산자가 급격히 늘어 전국민 1%이상 5000명이상/년에 이르고이들에 유학비용및 국적포기자 이중국적자들이 한국내에서 돈을 외국으로 반출할경우 고용없는 성장은 지속될것이고 자국민은 인도 카스트 불가촉천민식 착취를 당한다.지금 미국유학및 투자이민이 한국인이 제일 많다. 경재에 판돈이 밑빠진독에 물붇기식이라면 한국은 망한다.이런 국적법을 가진나라는 지구상없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